Hits: 0
![](https://blog.lxinternational.com/wp-content/uploads/2025/01/BG_국가자원안보특별법1-1-800x500.png)
TREND
2025/01/24
자원 빈국 탈출의 핵심, 국가자원안보특별법
전 세계적인 에너지 공급망 위기로 인해 에너지 안보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에너지자원 수요의 90% 이상을 해외 수입에 의존하는 자원 빈국인 우리나라는 자원 공급망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이러한 가운데 이번에 시행되는 국가자원안보특별법이 에너지 위기에 대응할 방패막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자원안보시대의 해외 자원 개발을 위한 ‘2024 해외자원개발 심포지엄’ 개최 지난해 12월, 서울 엘타워에서 ‘2024 해외자원개발 심포지엄’이 열렸습니다. 이번 행사는 ‘자원안보시대의 해외 자원 개발’을 주제로, 정부와 국내외 자원 개발업 산업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각계 전문가 및 관계자가 참석해 글로벌 자원시장의 격변 상황과 자원 개발업계의 현주소를 짚어보고 보다 적극적인 자원 확보를 위한 전략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특히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올해 2월 시행을 앞둔 국가자원안보특별법 및 하위법령에 대한 소개가 이루어져 관심을 끌었습니다. 최근 에너지자원 공급망 불안이 심화하면서 자원 보유국의 자원 무기화가 심각해지고 있어 자원 빈국인 우리나라가 자원안보특별법 제정을 통해 핵심광물, 원자재 등의 공급망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 마련에 나서게 된 것입니다. 발제자로 나선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이번 법안의 핵심이 그간 수소, LNG 등 개별 에너지원별로 이루어지던 자원 관리에서 벗어나 선제적, 종합적 에너지 위기관리 체계를 구축하게 됐다는 점이라는 것을 강조했습니다. 자원 안보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국가자원안보특별법’ 자원안보특별법은 자원 안보 위기 발생에 효과적으로…
![](https://blog.lxinternational.com/wp-content/uploads/2025/01/BG_신흥경제강국인도1-1-800x500.png)
TREND
2025/01/22
신흥 경제강국 ‘인도 러시’, 기회의 땅이 될 수 있을까?
침체된 사업의 활성화와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대안으로 막강한 내수 잠재력을 가진 인도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14억 인구를 바탕으로 ‘세계 경제의 오아시스’로 떠오르고 있으며, 이에 따라 우리 기업들의 ‘인도러시’가 이어지는 상황입니다. 새로운 기회이자 미래 시장으로 떠오른 인도의 잠재력을 살펴봅니다. 중국 다음은 인도? 왜 인도 러시인가 가전·모바일·자동차 관련 국내 기업들이 인도로 향하고 있습니다. 공장의 생산능력 확대, 프리미엄 제품 강화, 기업공개(IPO) 등 이유는 다양하지만, 전 세계적인 경기 침체 상황에서 인도 현지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다는 점은 공통적입니다. 기회의 땅이 된 인도러시가 줄을 잇는 이유는 14억 2천만 명의 인구를 가진 인도의 성장 잠재력이 그 어느 곳보다 크기 때문입니다. 특히 인도 인구의 약 68%가 15∼64세의 경제활동 가능 연령대라는 점에서 높은 시장 가치를 지닙니다. 여전히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 가전제품 보급률이 낮은 수준이지만, 젊은 고객이 많고 중산층이 늘고 있어 프리미엄 제품 수요가 급증하는 추세입니다. 코트라(KOTRA,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는 인도 가전 시장의 올해 성장치를 210억 달러 수준으로 전망하기도 했습니다. 무선통신 가입자 수 또한 11억 명으로, 중국에 이은 세계 2위 수준을 보이고 있으며, 자동차 시장 규모는 500만 대로, 중국과 미국에 이어 3위를 유지 중입니다. 세계은행은 인도 소비 시장 규모가 2030년까지 연평균 12% 커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매년 7% 안팎…
![](https://blog.lxinternational.com/wp-content/uploads/2025/01/BG_K푸드_1-1-800x500.png)
TREND
2025/01/13
다양한 K-푸드의 글로벌 시장 열풍 현황!
영화와 드라마 등 국내 콘텐츠를 통해 K-푸드가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올해에는 우리나라 식품명인들의 고뇌와 열정을 담은 50부작 푸드 드라마도 제작됩니다. 한국 전통 요리에 얽힌 생생한 스토리를 통해 K-푸드의 글로벌 인지도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처럼 K-푸드 열풍은 다양한 우리 식품의 글로벌 진출로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수출 확대와 본격적인 시장 개척에 나선 글로벌 현황을 알아봅니다. 새로운 K-푸드 진출 사업, 한식 급식 메뉴 새로운 글로벌 시장 진출이 돋보이는 분야는 바로 K-급식입니다. 회사, 공장, 학교 등 글로벌 단체 급식 시장에 K-푸드가 신선한 바람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K-푸드의 인기로 한식 메뉴에 대한 호감도가 높아지면서 국내 주요 급식 업체들이 글로벌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는 것입니다. 중국에선 미역국과 계란볶음밥, 된장찌개가, 베트남에선 닭강정과 제육불고기 등이 인기라고 합니다. 지난해 12월 기준 국내 3대 급식 업체가 해외에서 운영 중인 현지 사업장은 320여 곳에 이르며, 사업장 확대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현재까지는 대규모 제조공장이 몰려 있는 중국과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에 급식 업체들의 주요 사업장이 집중돼 왔으나, 앞으로 미국·유럽 등 새로운 시장 개척에 적극 나선다는 계획입니다. 단체 급식 업체 중에서 가장 많은 국가에 진출한 H사는 최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와 손잡고 해외 단체 급식 사업장에 한식 메뉴를 확대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맺기도 했습니다. 중소 식품…
![](https://blog.lxinternational.com/wp-content/uploads/2025/01/LXI_BG_2025-정책-변화_01-1-800x500.jpg)
TREND
2025/01/08
푸른 뱀의 해, 을사년 맞이 2025년 정책 변화
푸른 뱀의 해, 을사년이 다가왔습니다. 새롭게 열린 2025년에는 많은 것들이 새롭게 바뀌게 되는데요. 금융 제도부터 육아 휴직 기간, 그리고 군인 월급까지! 새해를 맞아 새롭게 바뀌는 제도와 정책을 소개합니다. 경기 회복을 위하여! 2025년 달라지는 금융 제도 2024년은 갈수록 심화되는 물가 상승으로 좀처럼 지갑을 열기 힘든 한 해였습니다. 3년 2개월 만에 금리 인하가 단행됐지만 일반 서민들이 체감하기는 어려웠고, 내수 침체는 점점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국내 정치 상황의 혼돈까지 더해 2025년 경기 전망에도 먹구름이 드리워진 상황입니다. 이런 가운데 금융계는 올해부터 불황을 극복하고 경기를 살리기 위한 다양한 제도를 새롭게 선보일 예정입니다. 먼저 1월부터 삼둥이 이상 다태아도 태아보험 가입이 가능해집니다. 그동안 일부 보험사들은 합병증 등 위험이 높다는 이유로 다태아 태아보험 가입을 거절하거나 제한해 왔습니다. 이에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소비자 편익을 증대하기 위해 보험사의 계약 인수 기준을 전격 개선하고, 2025년부터 삼둥이 이상 다태아도 태아보험을 취급하는 모든 보험사에서 보험에 가입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또 증권사, 저축은행, 상호금융업권의 단위조합 등 제2금융권에서도 비대면 금융사고에 대한 자율배상 제도가 시행됩니다. 자율배상은 본인도 모르게 제3자가 비대면 금융거래를 통해 금전적 손해를 입힌 경우 일정 금액을 금융사로부터 배상받을 수 있는 제도로, 작년까지는 은행권에서만 적용이 됐었습니다. 올해 1월 1일부터는 보이스피싱으로 개인정보가 유출돼 제3자에 의해 본인 계좌에서 금액이…
![](https://blog.lxinternational.com/wp-content/uploads/2024/12/241216_LXI_BG_양자-컴퓨팅_01-1-800x500.jpg)
TREND
2024/12/26
미래 기술 패권을 좌우할 게임 체인저, 양자 컴퓨터
인공지능(AI) 시대를 지나 차세대 기술로 주목받는 것이 바로 ‘양자 컴퓨터’입니다. 양자 컴퓨터가 몇 년 뒤에 상용화되면 AI 이상의 파급력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어, 현재 각국의 주요 기업은 치열한 기술 개발 경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양자 컴퓨터가 왜 주목받고 있는지, 국내외 개발 현황과 함께 살펴봅니다. 왜 ‘양자 컴퓨터’인가? ‘양자 컴퓨터’(quantum computer)는 양자역학을 활용해 자료를 처리하는 계산 기계를 말합니다. 기존의 컴퓨터는 정보 기본단위로 0과 1로 표현하는 비트(bit)를 쓰는 반면 양자컴퓨터는 1과 0을 동시에 처리하는 큐비트(qubit) 단위를 사용합니다. 비트는 ‘0’과 ‘1’로 정보를 표현하지만, 큐비트는 ’00·01·10·11’을 동시에 표현할 수 있습니다. 기존 컴퓨터가 한 번에 한 가지 일만 할 수 있다면, 양자컴퓨터는 한꺼번에 여러 일을 할 수 있는 겁니다. 따라서 슈퍼컴퓨터로 처리할 경우 100만 년 걸리는 문제를 양자 컴퓨터는 단 몇 시간 만에 풀 수 있습니다. 전 세계 기업들은 양자 컴퓨터가 인류의 난제를 해결하는 핵심 도구가 될 것이라 예측합니다. 조금 더 효율적인 배터리, 탄소배출이 없는 비료, 감염병에 대응할 수 있는 의약품, 편리한 무인 물류 관리 시스템 개발은 물론, 효율적인 비행 제어와 기후변화 대처에도 양자 컴퓨터를 활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뜨거운 시장 경쟁, 양자 컴퓨터 기술 선점 양자 컴퓨터 기술 개발은 아직 시작 단계로 미국을 비롯한 중국, 일본,…
![](https://blog.lxinternational.com/wp-content/uploads/2024/12/LXI_BG_페루-협력-강화_01-1-800x500.jpg)
TREND
2024/12/19
육해공을 넘나드는 결속, 페루 협력 강화
남아메리카 중부 태평양 연안에 있는 나라 페루. 고대 잉카 문명의 꽃을 피웠던 곳으로 남아메리카에서 유일하게 고대 문화유산을 간직하고 있는 나라인 페루는 우리나라와 멀리 떨어져 있지만, 오랜 인연을 가지고 있습니다. 60년이 넘는 수교 역사가 있으며, 6·25전쟁 당시 외교 관계를 맺기도 전에 지원을 받는 등 끈끈한 우정을 이어오고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올해 수교 61주년을 맞아 우리나라와 페루와의 관계는 국방과 방산은 물론 핵심 광물 영역까지 육해공으로 더욱 확장되는 중입니다. 61년째 이어오는 우호적 관계 우리나라와 페루는 올해 수교 61주년을 맞이했습니다. 공식 외교 관계를 맺은 뒤, 페루는 한국에 우호적인 태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해 오고 있으며, 양국은 2007년부터 서울, 리마 및 제3국을 비롯한 다양한 지역에서 11회에 걸쳐 정상회담을 가진 바 있습니다. 또한 페루는 우리나라의 중남미 지역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공적개발원조) 중점협력 4개국 중 한곳으로 다양한 개발 협력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으며, 남아메리카 국가 중 칠레 다음으로 한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국가이기도 합니다. 2023년 말 기준 양국 간 교역규모는 약 36억 달러로, 전체 교역규모 기준으로 우리나라는 페루의 11대 교역국에 해당합니다. 우리나라는 페루로부터 아연, 구리, 수산물 등의 원자재를 수입하고 있으며, 자동차, 가전제품, 기계류, 화학제품 등 일반 제조업 상품을 주로 수출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수교 60주년 기념으로 개최된 회담에서 양국 정상은 핵심 가치를…
![](https://blog.lxinternational.com/wp-content/themes/wpmtv-blog/img/new/footer_logo.png)
![](https://blog.lxinternational.com/wp-content/themes/wpmtv-blog/img/new/footer_copy.png)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