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ts: 13

LXINSIDE
2025/09/18
중국 CATL 리튬 채굴 중단, 국내 업계에 미칠 파장은?
중국의 리튬 공급 축소가 글로벌 배터리 시장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세계 최대 배터리 제조사이자 전기차·에너지 저장 시스템 기업인 CATL(Contemporary Amperex Technology)이 리튬 채굴 중단을 전격 발표했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리튬 가격이 오를 것으로 예상되면서, 국내 배터리 기업들 역시 적지 않은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중국, 리튬 광산 채굴 중단?! 중국의 배터리 제조사 CATL이 장시성 이춘에 위치한 젠샤워(Jianxiawo) 리튬 광산의 생산을 최소 3개월간 중단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광산의 연간 탄산리튬 생산 능력은 약 4만 6,000톤에 달하며, 인근 제련소까지 포함하면 공급 규모는 연 12만 톤으로 중국 내 12.5%, 전 세계 약 3%를 차지합니다. 채굴이 중단된 이유는 지난 2022년 8월 9일에 받은 채굴 허가가 올해 8월 9일로 만료됐으나, 연장에 실패했기 때문으로 추정됩니다. 이에 따라 한때 2차전지 소재 업체들의 주가가 급등하기도 했고, 글로벌 배터리 시장의 판도가 요동치는 상황입니다. 전문가들은 추세적 급등을 위해 수요 회복과 함께 추가 감산 조치 등이 나와야 한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습니다. 리튬 가격 반등과 중국의 공급 개혁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핵심 원료인 리튬은 최근 2년간 공급이 확대되면서 가격이 급락했습니다. 일부 광산은 생산원가에도 못 미치는 가격에 판매할 정도로 수익성이 악화된 상황입니다. 물론 젠샤워 광산의 채굴 중단만으로 글로벌 리튬 공급 과잉 문제를 해소하기에는 한계가…

LXINSIDE
2025/09/02
미래를 위한 약속, LX인터내셔널의 필리핀 라푸라푸 구리 광산 환경복구 프로젝트
LX인터내셔널은 2008년 필리핀 라푸라푸 광산을 인수해 구리와 아연을 생산한 뒤, 2013년 광산 개발을 마무리했습니다. 개발을 끝낸 후에도 광산을 그대로 방치하지 않고, 2018년부터 본격적인 환경 복구 작업에 착수했는데요. 그 결과, 최근 라푸라푸 광산 환경복구를 성공적으로 완료하며 한국 기업 최초로 필리핀 정부의 공식 인증을 받게 되었습니다. LX인터내셔널은 광산 운영 과정에서 환경 영향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현지 지역사회와의 상생에도 꾸준히 힘써왔습니다. 이번 성과는 ESG 경영 실천의 의미 있는 결실이라 할 수 있습니다. 어떤 노력이 이어지고 있는지, LX인터내셔널의 지속가능 경영 이야기를 자세히 전해드립니다. 광산 개발 그 후… 환경복구 작업이 필요했던 이유 필리핀 라푸라푸 광산은 마닐라에서 남동쪽으로 약 375km 떨어진, 라푸라푸 섬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곳은 구리와 아연이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지만, 개발 과정에서 환경 훼손과 섬 주민들의 생계 피해가 우려되던 지역이기도 했습니다. LX인터내셔널은 2008년 라푸라푸 광산 인수로 구리와 아연을 생산하고, 이후 2018년부터는 폐광이 된 라푸라푸 광산의 환경 복구 작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했습니다. 개발된 광산이 인근 지역에 피해를 주지 않도록 원래의 자연 상태에 가깝게 되돌려 놓기 위한 노력이었습니다. 다시 푸르게, 본래의 자연을 되찾기 위한 노력 한동안 방치되어 있던 라푸라푸 광산의 환경 복구는 우선 물을 퍼내고 흙을 메우는 작업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이어 불안정했던 사면을 안정화하는 공정이 우선적으로 진행됐습니다.…

LXINSIDE
2025/09/01
입사 7개월 차, 루키가 된 신입사원들의 취준 스토리
LX인터내셔널 역시 미래를 함께 이끌어갈 새로운 인재를 맞이할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입사를 준비하는 분들께 작은 길잡이가 되고자, 입사 7개월 차 신입사원 5명이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취업 준비 과정에서의 경험과 합격까지의 여정을 유튜브 토크 예능 형식으로 풀어내며, 생생한 이야기를 담았는데요. 지원자에서 신입사원이 되기까지의 과정, 그 진솔한 이야기를 지금 확인해 보세요. LX인터내셔널의 루키가 된 신입사원 5인방을 소개합니다! 구리개발팀 변우림 사원입니다. 학부 시절엔 경제와 통상 관련 법을 공부했고, 모든 거래에는 법학 지식이 동반되어야 한다는 생각으로 종합상사에 지원하게 됐습니다. 광산 투자에 진심인 LX인터내셔널은 항상 새로운 것을 시도하고 변화하는 회사라는 생각이 들어 꼭 입사하고 싶었습니다. Trading1 사업기획팀 정연진 사원입니다. 입사 후 인턴 미션 최종 발표 날 엄청 떨렸던 기분이 아직도 생생합니다. 발표를 위해 여러 조언을 해주시며 도와주신 선배님들에게 정말 감사드립니다. LX인터내셔널은 좋은 사람들이 있는 곳이라서 꼭 지원해보면 좋은 회사라고 생각합니다. E Trading팀 이두산 사원입니다. 외교학을 전공했고 일본에서 짧은 인턴십을 경험했습니다. 이후 글로벌한 일을 하고 싶어, LX인터내셔널에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입사 후 구리개발팀의 비전에 대해 들었던 날이 가장 기억에 남는데요. 특히 광물 사업에 대해 배울 점이 아주 많은 곳이라고 생각합니다. 회계팀 김민지 사원입니다. 경제학을 전공했고, 어렸을 때부터 미국 문화에 관심을 많이 가졌었습니다. 해외에서 살았던 경험을 토대로 늘 새로운…

TREND
2025/08/22
인도네시아·EU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 추진
최근 인도네시아 정부가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 대응하기 위해 유럽연합(EU)과의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 체결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CEPA는 상품·서비스 교역 확대는 물론, 투자, 지식 재산권, 지속가능성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대규모 경제 협력 체계입니다. EU와의 CEPA를 통해 인도네시아는 특정 국가에 대한 무역 의존도를 낮추고, 글로벌 시장에서의 협상력을 강화하는 중요한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최근 미국과의 관세 관련 논의로 예민한 시점에서, 대체 시장 및 우호적 무역 파트너를 확보하는 전략적 선택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인도네시아, 미국과 상호관세율 19% 확정 인도네시아는 세계 4위 인구 대국이자 풍부한 천연 자원을 보유한 신흥 경제 강국입니다. 동남아 최대 경제규모로 성장 잠재력이 큰 신남방 핵심 국가라고 할 수 있습니다. 미국은 인도네시아의 주요 무역 대상국으로, 2024년 기준 2위 수출국, 5위 수입국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주요 수출 품목은 팜유(팜오일), 신발, 전기기기, 수입 품목은 석유 가스와 대두 등입니다. 인도네시아와 미국 간 교역 규모는 약 384억 달러에 이르지만 수출 규모가 훨씬 커서, 인도네시아는 미국의 무역적자 상위 15개국 중 하나로 분류됩니다. 이에 미국은 양국 간 불공정한 교역 현황을 해소한다며, 지난 4월 32% 상호 관세 조치를 발표했습니다. 이에 인도네시아는 미국산 제품 수입 확대 및 수입 규제 완화를 약속하는 등 관세 조치 완화를 위한 협상을 진행해 왔습니다. 그 결과, 지난 7월 16일 최종 무역협정을 체결하며, 기존보다 다소…

TREND
2025/08/14
기차 시장의 신흥강자 BYD, 유럽 시장 독주하다?
전기차 글로벌 판매량이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지난해 중국 내수 시장은 물론 유럽 전역에서 가장 많이 팔린 전기차는 ‘BYD’였습니다. 이러한 성과에 힘입어 BYD는 테슬라를 압도적인 차이로 제치고 세계 전기차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며 무서운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반면, 전기차의 대명사 격인 테슬라의 판매량은 점점 주춤해 올 4월에는 지난해 대비 실적이 반토막났습니다. 세계 전기차 시장 점유율 1위, 중국 지난해 전 세계에 신규 등록된 전기차는 약 1,763만 대로 전년 대비 26.1% 증가했습니다. 특히 중국에서만 1,000만 대 넘는 전기차가 팔리는 등 중국은 세계 최대의 전기차 생산 및 판매 시장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수많은 중국의 전기차 브랜드 중에서도 단연 판매 1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이 바로 BYD입니다. BYD 전기차는 지난해 중국에서만 400만 대 넘는 판매량을 보였으며, 글로벌 시장에서도 두각을 나타내는 중입니다. 이러한 성과는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정책과 기술 발전 노력에 힘입은 것으로 분석됩니다. 중국 정부는 전기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 수소차 등 신에너지차 육성을 위한 정책을 꾸준히 추진해 왔으며, 차량 취득세 면제 기한을 2027년까지 연장하고 보조금도 확대했습니다. 그 결과 노후 차량의 신에너지차 교체 비율은 60%를 넘어섰습니다. 또한 관세 장벽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수출을 지속적으로 늘리고, 유럽과 동남아 등으로 수출 대상국을 확대해 왔습니다. 이와 같은 노력은 중국 로컬 브랜드의 글로벌…

LXINSIDE
2025/07/29
자원의 숲에서 미래를 말하다, LX인터내셔널 TBSM법인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생산되고 소비되는 식물성 기름, 팜유. 최근 글로벌 시장에서 팜유가 주목받는 이유는 친환경 연료로 수요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LX인터내셔널도 2018년부터 인도네시아에 TBSM법인을 운영하며 대규모로 팜유를 생산하고 있는데요. 이곳에서는 사람과 자연이 공존하며 지속 가능한 내일을 열어가고 있습니다. TBSM법인은 어떤 곳이며, 어떤 강점이 있는지 자세히 알아볼까요? Q. TBSM법인은 어떤 곳인가요? LX인터내셔널은 인도네시아 서부 칼리만탄섬에 3개의 팜 농장(PAM, TBSM, GUM)을 운영하며 글로벌 시장에 안정적으로 팜유(CPO: Crude Palm Oil)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그 중 2018년에 인수한 TBSM법인의 농장은 면적이 총 4,250ha로, 여의도 면적의 15배쯤 됩니다. 1,550여 명의 직원들이 함께 팜 열매를 수확하고, 그 열매로 팜유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2024년에는 팜유 58,000톤을 생산∙판매했습니다. 8톤 트럭 7,250대 분량이 되는 어마어마한 규모입니다. Q. 팜유는 어떻게 만들어지나요? 팜유는 팜 열매의 과육 부분을 순수 압착 방식을 통해 추출한 식물성 유지입니다. 가격이 저렴하고 장시간 튀겨도 변색되지 않아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식물성 기름입니다. 팜유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농장에서 수확한 팜 열매를 CPO Mill(팜유 가공공장)으로 옮겨 세척, 압착, 분리하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팜 열매는 수확한 후 24시간이 지나면 부패가 진행되므로, 이후 바로 정제된 팜유를 생산합니다. Q. 팜유 생산 현장에서 가장 중요한 건 무엇인가요? 정제된 팜유가 생산되기까지 거치는 모든 공정에는 위생과…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