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월 24, 2021
길가에 버려진 쓰레기와 잡동사니, 깨진 콘크리트와 벽돌 조각으로 가득한 공터가 있다면, 그곳을 지날 때 어떤 기분이 들까요? 도시에서는 어디에서나 이런 공간을 흔하게 볼 수 있습니다. 도심 속 빈 공터는 지저분해 보이고 스산한 분위기를 만들 뿐만 아니라 우범지대가 되기도 하여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죠. 실제로 범죄심리학에는 1982년 제임스 월슨과 조지 켈링이 발표한 ‘깨진 유리창 이론(Broken Window Theory)’이라는 예시가 있습니다. 서로 다른 지역의 골목에 각각 한 대의 차량을 두되, 한 대는 깨진 유리창을 방치해두고 한 대는 깨끗하고 멀쩡한 상태로 두었죠. 그러자 사람들은 유리창이 깨져있는 자동차를 방치한지 채 10분도 되지 않아 배터리나 라디에이터 같은 부품들을 절도했습니다. 하지만 깨끗한 자동차는 5일이 지나도록 아무런 일이 없었는데요. 깨끗한 자동차의 유리창을 깨트린 후 다시 방치하자, 이번에도 똑같은 일이 일어났습니다. 지역과는 상관 없이, ‘유리창이 깨져있다’는 사실이 사람들에게 사소한 범죄를 하도록 유도한 셈입니다. 이처럼 환경은 사람들의 마음에 큰 영향을 끼칩니다. 그러면, 다시 도심 속 빈 공터로 돌아가 봅시다. 빈 공터는 분명 누군가 소유자가 있습니다. 그러나 관리되지 않아 오랜 시간 방치되면서 쓰레기를 투기하는 사람들이 생기고, 쌓인 쓰레기는 또다른 쓰레기 투기를 유발하는 악순환에 빠지게 됩니다. 결국 황폐하고 보기 흉한 공터가 남게 되고, 이는 사람들의 마음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칩니다. 이 ‘부정적인 영향’과…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