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광물공급망' 검색 결과

|
2월 25, 2025
중국 의존도 낮추는 국내 핵심 광물 수급 방안
한국 첨단 전략산업에 필수적인 주요 광물의 중국 의존도가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흑연과 수산화 리튬 등은 중국산 비중이 80%를 넘어서는 상황입니다. 이에 정부는 대중국 수급 의존도를 낮추고 핵심 광물 공급의 안정화를 이루기 위한 본격 대책을 내놓았습니다. 국내 핵심 광물의 중국 의존도 ‘심각’ 수준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수입된 2만 5,990톤의 흑연 중 중국산이 무려 97.2%에 달합니다. 2차 전지 음극재 핵심 원료인 흑연과 더불어 국내 배터리 기업들의 수요가 많은 수산화 리튬 역시 같은 기간 수입 물량 중 중국산 비중이 82.3%에 이르러 중국 의존도가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흑연 외에도 주요 희소 광물에 대한 중국산 수입 비중은 지난 몇 년간 급증세를 보여 왔습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 따르면 2023년에 중국에서 수입한 37개 희소 광물은 70억3,200만 달러 수준으로, 5년 전에 비해 3.3배 늘어난 수치입니다. 같은 기간 우리나라의 희소 광물 수입 국가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 역시 23%에서 36%로 증가했습니다. 주요 광물의 중국 의존도는 이미 50%를 넘어섰습니다. 한국광해광업공단의 자료에 따르면 2023년에 전체 수입된 주요 광물 중 마그네슘의 91%, 니오븀의 87%가 중국산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그밖에 리튬(57%), 희토류(62%), 바나듐(51%), 텅스텐(77%), 갈륨(73%), 크롬(42%) 역시 중국에서 가장 많이 들여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내 광물 시장 수요 및 주요 품목 현황 설상가상으로 국내…
Read more

|
11월 28, 2024
한국의 핵심광물 안보 파트너십 회의 주재, MSP
핵심광물 안보 파트너십(MSP) 의장국인 한국이 현지 시각 9월 26일, 미국 뉴욕에서 첫 수석대표 회의를 주재했습니다. MSP는 핵심광물의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미국이 주도하는 공급망 다자협력체로, 지난 6월에 우리나라가 새로운 의장국으로 선출된 바 있습니다. 이번에 처음으로 회의를 주재한 우리나라는 MSP의 최우선 과제가 첨단산업 발전과 청정에너지 전환에 필수적인 핵심광물의 공급망 안정화라는 것을 강조했습니다. 핵심광물 안보 파트너십(MSP) MSP는 핵심광물 안보 파트너십(Minerals Security Partnership)의 약자로, 리튬·흑연·니켈·희토류 등 핵심광물의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공급망을 다변화하기 위해 2022년 미국 주도로 출범했습니다. 미국을 비롯해 한국, 영국, 일본 등 14개국과 유럽연합(EU)이 참여 중이며, 핵심광물 공급망에 대한 공공 및 민간의 투자를 촉진하고 투명성을 강화해 높은 수준의 환경, 사회 기준을 장려하는 것으로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이차전지, 전기차 등 주로 미래 기술 산업의 필수 소재로 쓰이는 핵심광물은 글로벌 산업의 최대 관심사 중 하나로 꼽힙니다. 핵심광물은 산업적 가치가 크고 수요가 많지만, 전 세계적으로 매장량이 적고 지역별 매장 편차도 심해 공급·환경 분야 리스크가 큰 것이 특징입니다. MSP 참여국들은 핵심광물이 세계 경제의 발전과 청정에너지로의 전환에 매우 중요하다는 데 공감하면서 국제사회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투명하고 개방적이며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핵심광물 공급망을 구축해야 한다는 데 뜻을 같이하고 있습니다. 또한 핵심광물 채굴, 제련, 재활용 분야에서 ESG(Environment, Social,…
Read more

|
10월 10, 2024
한•호주 FTA 10주년, 교역 업그레이드 핵심은?
한국과 호주가 FTA(자유무역협정)를 체결한 지 벌써 10년이 되었습니다. 10주년을 기념하여 양국은 핵심 광물과 청정에너지 분야까지 확대해 협력 범위를 더욱 확대하기로 합의하였습니다. 이는 추후 에너지 공급 안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10년째 이어진 한·호주 FTA 우리나라와 호주는 2014년 FTA(자유무역협정)를 체결했습니다. 올해로 벌써 10주년이 됐습니다. 우리의 11번째FTA 체결국인 호주는 2022년 기준 1조 7,023억의 GDP 규모를 자랑하는 세계 12위 경제 대국입니다. 우리나라와 비슷한 수준의 경제 규모로 높은 구매력을 가진 내수시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주로 공산품을 수출하고 원자재나 에너지 자원을 수입하는 상호 보완적 교역구조로 되어 있어 이상적인 FTA 파트너로 여겨져 왔습니다. 또한 호주는 광물자원 수입액 중 약 3분의 1을 차지하는 주요 광물 자원 수입 대상국입니다. 따라서, FTA를 통한 자원 협력 강화와 투자 안정성 확대를 통해 안정적인 자원 공급이 기대되는 국가이기도 합니다. 특히 호주는 아시아 국가와 교역 비중이 높습니다. 전체 교역의 60% 이상을 차지합니다. 이미 여러 국가와 FTA 협정을 맺고 있어 호주 시장 내에서의 아시아 국가간 경쟁이 치열합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국내 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2007년부터 호주와 FTA 체결을 추진했습니다. 이후 여러 차례 공식 협상을 거쳐 드디어 2014년 12월 12일 한·호주 FTA가 발효되었습니다. 한·호주 FTA는 포괄적이고 높은 수준의 FTA로 상품, 투자, 서비스, 원산지, 무역구제, 무역기술장벽(TBT), 정부조달,…
Read more

|
9월 13, 2024
‘글로벌 공급망 구원투수’… 베트남과 협력 강화
최근 특정 국가의 자원 패권에 대한 대안이 필요하단 지적이 나오는 상황에서 전 세계적인 주목을 받는 나라가 바로 베트남입니다. 우리나라는 베트남과 우호적인 협력관계를 유지해 왔으며, 얼마 전 양해각서(MOU)를 통해서 교역을 더욱 강화한다는 방침을 밝혔습니다. 일부 자원 공급망에서 중국의 대안으로 꼽히는 베트남과의 핵심 광물 공급망 분야 협력을 확대하고자 나선 것입니다. 핵심 광물 협력을 이어온 한-베트남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 회원국 중 우리나라의 최대 교역 대상국은 베트남입니다. 2021년 기준 우리나라 아세안 교역의 46%가 베트남과 이뤄졌습니다. 중국·미국에 이어 우리나라의 3대 수출 대상국인 것입니다. 우리나라와 베트남은 오랜 우호 관계를 유지하며, 지난 2022년에는 수교 30주년을 맞아 양국 간 관계를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로 격상하기도 했습니다. 특히 핵심 광물 공급망에 대한 협력을 꾸준히 확대해 왔습니다. 지난 2022년 12월에는 ‘핵심 광물 공급망 협력 양해각서(MOU)’를 비롯해 총 3건의 협정 및 MOU에 서명하면서 핵심 광물의 탐사와 개발 관련 기술, 투자 촉진, 안정적 수급, 공동 글로벌 핵심 광물 공급망 확보 등을 위한 협력을 강화키로 했습니다. 온실가스 감축, 청정에너지, 원산지 누적 등을 통한 산업 공급망, 탄소중립 및 무역 분야 협력도 더욱 확대하기로 약속했습니다. 양국 정부 및 기업 간 협력을 진전시키고, 안정적인 국내 핵심 광물 수급을 기대하기 위해서입니다. 2023년에도 한-베트남 정상회담을 통해 향후 경제협력 가속화, 핵심…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