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글로벌 해상 운임이 끝을 모르고 치솟고 있습니다. ‘물류 대란’이 일어났던 과거 코로나 19 당시 수준까지 올라 국내 중견·중소 수출 기업들은 발만 동동 구르고 있는 상황입니다. 설상가상으로 글로벌 선사들이 중국에서 물류량을 꽉 채워 한국을 패싱하는 경우까지 생기면서 컨테이너를 확보하기조차 어려운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물류 대란 우려 여전…해상 운임 ‘숨고르기’?

글로벌 해상 컨테이너 운임 지표인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가 지난 7월 5일 기준 3,734로 전주보다 19포인트 이상 오르면서 13주 연속 오름세를 보였습니다. 3,700을 넘은 것은 코로나19로 공급망 쇼크 여파가 이어지던 2022년 8월 이후 처음입니다. SCFI는 중국 상하이거래소에서 2005년 12월 7일부터 상하이 수출 컨테이너 운송시장의 15개 항로의 스폿(spot) 운임을 반영한 운임지수를 나타낸 것으로, 지난 3월 29일 이후 13주 연속 상승세를 기록했습니다.

다행히 7월 12일 기준 3,675를 기록하며 상승세가 다소 꺾이면서 4주 연속 하락세로 돌아섰지만, 여전히 4,000선을 바라볼 정도로 운임 수준이 높고 글로벌 해상 컨테이너의 수급 상황이 원활하지 않은 모습입니다. 특히 최근에는 이스라엘과 이란의 확전 위기감이 치솟으면서 전 세계적인 에너지·물류 대란 사태를 대비해 해상운임이 다시 급등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글로벌 이슈로 머리 아픈 국내 수출 기업들

운임 상승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다양한 글로벌 이슈로 인한 여파 때문입니다. 첫 번째 요인은 이스라엘-하마스 분쟁이 촉발한 홍해 사태입니다. 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수에즈 운하 통행이 원활하지 않아, EU를 향하는 선박들이 아프리카 남단 희망봉 항로로 크게 우회하고 있는데요. 이에 따라 운송에 2주가량 시간이 더 소요되면서, 물건을 실어 나르던 선박이 부족한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두 번째 요인은 가뭄입니다. 파나마 운하는 수압을 이용해 물류를 이동하는데 오랜 가뭄으로 수량이 줄어들어 운영이 차질을 빚고 있습니다. 가문으로 인한 파나마 운하의 운행 차질로 미국으로 향하는 대형 선박 운항에도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

여기에 최근 미·중 통상 변수까지 더해져 상황은 더 악화됐습니다. 8월로 예고된 미국의 대중국 관세 인상을 앞두고 중국에서 수출길이 막히기 전에 급하게 물량 밀어내기에 나섰기 때문입니다. 글로벌 해운 수요가 중국으로 집중된 이후에는 중국발 컨테이너선 싹쓸이 현상까지 나타났습니다.

이처럼 겹악재가 이어지면서 국내 지역 화주업계는 그야말로 비상 상태에 직면한 모습입니다. 물류비 부담이 문제가 아니라 컨테이너를 확보하는 것 자체가 힘든 상황에 놓였습니다. 대기업의 경우 연 단위로 계약하므로 피해가 덜하지만, 단기계약이나 물량이 적은 건을 주로 담당하는 지역 중견·중소기업은 컨테이너 조차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데요. 불가피하게 비용이 더 드는 항공 운수를 대안으로 고민할 수밖에 없다는 화주들이 많아졌습니다.

하반기 전망과 국내 수출 다변화를 위한 대책은?

운임 상승세가 잠시 주춤했다고 해서 글로벌 수출 현황이 더 나아질 거라고만 기대할 수는 없습니다. 통상적으로 해운업계의 성수기인 하반기로 들어서면서 해운 운임은 더 오를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또한 미국의 중국 조선소 제재 및 대만 해협 우려가 불거진다면 해운 운임은 다시 폭등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부산상공회의소가 지역 주요 수출기업 100개 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부산지역 수출환경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수출이 전년과 비슷한 수준일 것이라고 응답한 기업은 전체의 42%였으며, 응답 기업의 72%가 5개국 이상의 수출국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다만 응답한 기업의 91%는 특정 국가 수출 비중이 30% 이상이었는데요.

해상 운임이 오르면 가격 경쟁력에 더 취약할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물류비, 통관비 지원과 관세부과 완화 정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대다수입니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부산상공회의소는 수출 다변화를 위해 현행 판로개척 지원사업이나 통상정책에 대한 실효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임시 선박 지속 투입, 기업의 비용 부담 완화 등 정책적 지원을 통해 불안정한 국제 정세 속에서도 국내의 지역 기업이 수출 다변화를 이룰 수 있기를 기대해 봅니다.

Hits: 78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