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CATEGORY

  • 전체보기
  • LXI NEWS
  • LXI HISTORY
  • LXINSIDE
  • LXI RECRUIT
  • TREND

Search Newsroom

  • 제조일자
  • 퍼스널브랜딩
  • 국제표준화기구
  • ESG경영
  • 법무
  • 지구온난화
  • LXI역사
  • 안전
  • 채용연계형
  • 직원
  • 니켈폭등
  • 어버이날
  • 한국식나이
  • 배양육
  • 요즘산업
  • 기업브랜딩
  • 리튬이온전지
  • 우크라이나
  • 로즈데이
  • 플로깅
  • 요소수
  • 결산시스템
  • 스마트폰
  • 지속가능관광
  • 퍼펙트스톰
  • 한글라스
  • 테이퍼링 영향
  • SNS챌린지
  • 브이로그
  • 오피스빅뱅
  • 기업가치
  • 구인상회
  • 채용안내
  • MZ세대특징
  • LXITREND
  • 직무
  • D2C
  • 모빌리티
  • 온실가스
  • NFT
  • 가상공간
  • 나이키D2C
  • 경기회복
  • 2022년
  • 흑연
-
  1. 홈
  2. 태그검색

'머신러닝' 검색 결과

  |   10월 17, 2024

‘잠자리 날갯짓’ 완벽 모방…자율비행 드론 ‘난다’

코로나 19 백신 운송과 우크라이나 전쟁에 드론 기술이 도입되는 등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드론 활용이 확대되면서 비행 기술 또한 해마다 발전을 거듭해 오고 있습니다. 시장조사기관 프레시던스 리서치(Precedence Research)에 따르면, 전 세계 상업용 드론 시장 규모는 2022년 243억 9,000만 달러를 기록한 것으로 추산되며, 2030년에는 약 5,045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처럼 드론 시장이 거대한 몸집을 키워가는 가운데, 최근 국내에서 독자적인 드론 자율비행 제어 기술이 개발되어 비행 기술 수준을 한 단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바람을 감지하고 자율비행…’감각 비행’ 개발 지난 9월 20일, 한국연구재단(NRF)은 아주대학교의 공동 연구팀이 ‘날갯짓 드론’의 날개 변형 데이터를 측정하고, 강화 학습을 통해 ‘감각 비행(fly-by-feel)’ 제어기를 개발했다고 밝혔습니다. 새나 곤충의 날개짓을 모방하는 드론은 스스로 바람을 감지하고, 목표 위치까지 자율적으로 비행할 수 있습니다. 감각 비행은 새나 곤충이 비행할 때 날개와 몸에 느껴지는 바람의 압력과 공기의 흐름을 감지하여 방향과 속도를 조절하는 비행을 뜻하는 말입니다. 비행체가 카메라나 GPS 같은 복잡하고 무거운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도, 주위 환경의 변화를 인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능으로 드론 기동성을 향상시키고 에너지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이 장점입니다. 마치 새처럼 돌풍 속에서도 자율비행이 가능한 드론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된 것입니다. 생물학적 메커니즘을 모방한 효율적인 비행 제어…
Read more
  |   7월 26, 2022

왜 지금 기업들은 DX(디지털전환)를 할까?

컴퓨터가 대중화되기 전, 기업에서 하는 업무는 사람이 직접 손으로 했습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거의 모든 업무가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진행되고 있죠. 즉 업무의 디지털(digital)화가 이루어진 것입니다. 그러나 앞서 말한 ‘디지털화’와 ‘DX’는 다른 의미입니다. 그럼 DX가 대체 뭐야? DX(Digital Transformation, 디지털 전환)는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Cloud), 인공지능(AI), 빅데이터(Big Data)를 통해 ‘디지털화’가 한 단계 더 도약한 것입니다. 기업의 내부 전략이나 조직 구조부터 프로세스, 비즈니스 모델, 시스템 등 전반적인 운영에서의 영역이 ‘디지털화’된다는 의미이죠. 쉽게 말하면 디지털화는 작업 방식을 보다 단순하고 효율적으로 만드는 과정으로 새로운 형태의 사업을 만들지는 않지만, 디지털 전환은 오프라인 시장에 집중한 전통적인 사업 구조를 디지털 시장에 맞게 재편하는 것이 둘의 차이점입니다. 즉, 디지털 전환은 시장과 소비자의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새로운 형태의 사업 프로세스나 고객 경험을 창출해 나가죠. DX의 3단계를 알면 좀 더 명확한 그림을 그려볼 수 있을 것입니다. 1단계: 디지털 인프라의 구축 먼저 ‘디지털(digital)’이라는 단어는 데이터를 연속적인 수가 아닌 2진수로 표현하는 것을 말하는데요. 컴퓨터가 디지털 방식으로 데이터를 처리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디지털’이라고 하면 컴퓨터를 비롯한 각종 정보처리가 가능한 전자기기를 가리키는 말로 쓰이고 있습니다. 디지털 인프라 구축은 앞서 언급한 컴퓨터를 비롯하여 각종 정보처리가 가능한 전자기기가 세상에 등장하기 시작하면서 변화 하였다는 의미입니다. 대체로 1990년대부터 시작되어…
Read more
  • 4월 24, 2025 AI 시대 프리미엄 디스플레이 시장을 선도할 OLED
  • 4월 17, 2025 장보기 겁나는 요즘, 세계식량가격지수 급등 품목은?
  • 4월 10, 2025 자원 안보 확대, 한-몽골 희소금속 공급망 협력 강화!
  • 8월 25, 2021 90년대생이 온다! 직장에서 MZ세대 이해하는 법
  • 3월 22, 2023 우리나라는 물 부족 국가일까?
  • 6월 16, 2022 전 세계를 휩쓰는 이상기후, 원인은?

  • HOMEPAGE
  • FACEBOOK
  • INSTAGRAM
  • YOUTUBE
  • NAVER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