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정에너지' 검색 결과

|
7월 11, 2025
핵융합 발전을 향한 구글의 투자, 차세대 전력원
구글이 핵융합 발전 전력을 구매하는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인공지능(AI) 산업의 성장으로 인한 전력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이러한 투자를 감행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급증하는 전력 수요에 대한 대비책으로 최근 빅테크 기업들은 소형 모듈 원전(SMR)에 이어 핵융합 발전에까지 투자를 확대하는 추세입니다. 핵융합은 ‘꿈의 청정에너지‘라 불리며, 화석 에너지를 대체할 미래 에너지로 주목받고 있기 때문입니다. 미래를 위한 구글의 준비 지난달 구글이 핵융합 발전을 연구·개발 중인 커먼웰스퓨전시스템(CFS)으로부터 200MW(메가와트)의 전력을 공급받는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이는 CFS가 미국 버지니아주 체스터필드에 건설 중인 첫 번째 상업용 핵융합발전소 ‘아크(ARC)’의 전체 발전 용량의 절반에 해당하는 규모입니다. CFS는 2030년대 초반부터 아크를 통해 400MW의 청정 무탄소 전력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CFS에 대한 구글의 투자가 이번이 처음은 아닙니다. 지난 2021년 20억 달러를 투자한 데 이어 추가 투자를 진행한 것입니다. 구글 관계자의 설명에 따르면, 핵융합 발전은 깨끗하고 풍부하며 본질적으로 안전해 거의 모든 곳에 건설할 수 있어 미래 에너지원으로서 엄청난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상용화하기는 매우 어렵고 성공이 보장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현된다면 세상을 바꿀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왜 핵융합 에너지인가? 핵융합 발전 전력이 ‘꿈의 청정에너지’로 불리는 이유는 핵융합이 지구의 모든 생명체를 살아 숨 쉴 수 있게 만드는 태양빛과 열에너지의 근원이기 때문입니다. 태양의 가장 많은…
Read more

|
8월 25, 2023
신재생에너지가 화석연료보다 저렴하다고? 청정 에너지 시대의 출발선, ‘그리드 패리티’
태양광 발전이나 풍력 발전 등 우리가 흔히 접할 수 있는 신재생에너지에 대해 발전비용이 ‘비싸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을 것 같은데요. 그런데 미국 일부 주와 호주, 독일에서는 신재생에너지의 발전비용이 화석연료보다 오히려 저렴하다고 합니다. 이런 상태를 ‘그리드 패리티’를 달성했다고 표현하는데요. 그리드 패리티란 무엇이고, 어떤 의미가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그리드 패리티란? 그리드 패리티(Grid Parity)는 ‘기준선’이라는 뜻의 그리드(Grid)와 ‘동등함’이라는 뜻인 패리티(Parity)의 합성어로, 석유나 석탄 등 화석연료를 사용한 화력발전 비용과 태양광이나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의 전기 생산 비용이 같아지는 시점을 말합니다. 이때 이 ‘발전비용’은 곧 균등화발전원가(Levelized Cost of Electricity, LCOE)로 비교할 수 있는데요. 균등화발전원가란 발전설비를 운영하는 기간에 발생한 모든 비용을 수치화한 값입니다. 여기에는 투자비, 연료비, 운영비, 대기 오염 비용, 보험료 등이 포함됩니다. 이 수치를 활용하면 발전원별로 1kWh의 전기를 생산하는 데에 비용이 얼마나 드는지 알 수 있습니다. 그리드 패리티가 달성된다는 건 결국 신재생에너지의 균등화발전원가가 화석연료의 균등화발전원가보다 낮아진다는 뜻으로, 신재생에너지가 전력시장에서 가격 경쟁력의 우위를 점하게 된다는 뜻입니다. 그렇게 되면 정부가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위해 신재생에너지를 우선 구매하는 등의 지원 제도를 펼치지 않아도, 시장 경쟁 원리에 따라 신재생에너지가 더 효율적으로 보급될 수 있게 됩니다. 동시에 최종 전력 소비자로서는 신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력을 다른 연료로 생산할 전력과 차별 없이 구매할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Read more

|
6월 26, 2023
한국과 캐나다 MOU 체결, ‘이것’ 때문에 손잡았다고?
최근 산업통상자원부가 우리나라와 캐나다 간의 MOU 체결을 발표하며 전기차와 배터리 제조사들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이번 MOU 체결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시선도 많은데요. 우리나라와 캐나다가 갑자기 손을 잡게 된 이유는 무엇이고, 시장에 어떤 영향을 끼칠까요? 한국과 캐나다가 손을 잡은 이유 우리나라는 지난 5월 캐나다와 ‘핵심광물 공급망·청정에너지 전환·에너지 안보 협력 MOU’를 체결했습니다. 미국의 IRA법에 대응하여 캐나다와의 핵심광물 공급망 및 에너지 분야에서의 협력을 강화하기로 한 것인데요. 캐나다는 약 60가지 이상의 광물자원과 200여 개 광산, 6,500여 개 채석장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핵심광물이 풍부한 데다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하고 있어 우리나라 전기차와 배터리 업계가 IRA에 대응하기 위해서 반드시 협력이 필요한 국가입니다. 또, 수력이나 천연가스 등 청정에너지 발전 비중이 높고 청정수소 생산에도 강점을 지니고 있어 에너지 부문에서의 협력 역시 기대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우리나라 기업들이 최근 캐나다에 적극적인 투자를 늘리며 미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한 교두보로 활용하고 있는데요. 배터리 소재의 포스코 계열사인 포스코퓨처엠의 사례가 대표적입니다. 포스코퓨처엠은 2025년 3월 양산을 목표로 미국 제너럴모터스(GM)와 합작해 연 3만 톤 규모의 생산력을 갖춘 양극재 합작 공장을 캐나다 퀘벡주에 건설하고 있죠. MOU, IRA가 뭐지? 우리나라와 캐나다가 체결했다는 MOU는 ‘양해각서(Memorandum of Understanding)’를 뜻합니다. 거래 당사자들이 본 계약을 최종 체결하기 전 계약에 필요한 사항에 대해 상호 협의한 내용을…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