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독' 검색 결과

|
9월 27, 2023
치솟는 OTT 구독료, 스트림플레이션?
요즘은 누구나 OTT 서비스를 이용한다는 표현이 어색하지 않습니다. 남녀노소 누구나 OTT 서비스로 콘텐츠를 시청하는 시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요. 그런데 최근 ‘스트림플레이션(streamflation)’이 시작되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 스트리밍(streaming) 서비스와 인플레이션(inflation)을 결합한 단어로 최근 주요 OTT 서비스의 구독료가 연달아 인상되는 현상을 가리키는데요. 스트림플레이션의 원인은 무엇이고 앞으로 OTT 시장은 어떻게 변화할지 알아보겠습니다. 지금은 OTT 시대 OTT(Over-the-Top)는 셋톱 박스를 거치지 않고 인터넷망을 통해 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는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를 말합니다. IPTV나 방송사와는 다르게 폐쇄적인 영상 유통 인프라를 거치지 않고 공공 인터넷망을 통해 제공된다는 특징이 있는데요. 스마트폰, 태블릿, TV 등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이용할 수 있어서 인기입니다. 특히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OTT 시장은 급격히 성장했습니다. OTT 서비스가 사랑받는 이유에는 고도화된 스트리밍 기술이나 UI/UX의 편리함, 부담스럽지 않은 가격 등 여러 요소가 영향을 미쳤지만, 그중 가장 중요한 요소는 바로 ‘콘텐츠’입니다. 오늘날에는 영화관에 가지 않아도 OTT 서비스를 통해 영화를 감상하고, TV가 없어도 TV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으며, 다양한 웹드라마나 음악 콘텐츠 역시 OTT 서비스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최근의 통계자료는 OTT 서비스가 중요한 콘텐츠 소비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것을 잘 보여주는데요. 방송통신위원회에 따르면 2022년 기준 10대에서 40대까지의 OTT 서비스 이용률은 85% 이상이며, 50대 이용률은 70.2%, 60대는 54.4%를…
Read more

|
9월 16, 2022
떠오르는 구독경제! 식품업계도 뛰어들었다
오늘날 다양한 구독 서비스가 등장하면서 구독경제 시장 규모도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식품 구독 서비스’가 등장하며 눈길을 끌었는데요. 구독경제란 무엇이고 어떤 종류가 있는지, 그리고 왜 주목받는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신문 배달부터 콘텐츠 정기결제까지, 구독경제란? 구독의 사전적 의미는 ‘책이나 신문, 잡지 따위를 구입하여 읽음’을 뜻합니다. 하지만 최근 구독의 의미는 일정 금액을 내고 정기적으로 제품이나 서비스를 받는 것을 뜻하는데요. 대표적인 예시로 매달 일정 금액을 지불하고 무제한으로 콘텐츠를 이용하는 OTT 서비스가 있죠. 구독의 의미가 변화한 이유는 구독 서비스가 디지털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모든 산업 영역으로 확장되었기 때문입니다. 기존까지의 구독 서비스는 어떤 물건을 정기적으로 배송받거나, 정수기나 건조기, 안마 의자처럼 가격이 비싼 가전제품을 렌탈하는 서비스가 주를 이루었는데요. 디지털화가 빠른 속도로 확산되면서 오늘날에는 동영상이나 음악 등의 콘텐츠나 편의점, 백화점, e커머스 등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정기결제하는 방식의 3세대 구독 서비스가 등장했습니다. 가파르게 성장하는 구독경제 구독 서비스는 꾸준히 증가하며 시장규모 또한 커지고 있습니다. 2021년 취업포털 인크루트에서 성인남녀 80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온라인 정기구독 서비스 이용 현황‘에 따르면, 응답자 10명 중 7명은 “온라인 정기구독 서비스를 현재 이용 중이다.”라고 응답했는데요. 또한, KT경제경영연구소는 국내 구독경제 시장규모가 2020년 기준 40조 1천억, 2025년까지 100조 원대로 성장하리라 전망하였죠. 구독 서비스의 성장세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