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튬' 검색 결과

|
6월 14, 2024
리튬 부유국, 칠레 공급망 협력 강화
전 세계 리튬의 절반 이상을 보유하고 있는 남미 삼각지대 중 하나인 칠레가 지난해 리튬(Lithium) 국유화를 선언했습니다. 국가 주도하에 리튬 산업의 개발을 진행하면서 경제적 이익을 극대화하겠다는 취지입니다. 칠레산 리튬 수입 비중이 높아 공급망의 안정성 확보가 시급한 상황에서 정부는 민간 기업과 함께 칠레와의 우호적인 협력에 나섰습니다. 칠레, ‘국가 리튬 전략’ 발표 칠레는 1,100만 톤(t)이라는 많은 양의 리튬 매장량을 자랑하는 나라입니다. 그런 칠레가 지난해 ‘국가 리튬 전략(Estrategía Nacional del Litio)’을 발표하며, 리튬의 국유화를 선언했습니다. 공기업 중심으로 민관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자국 리튬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여 경제적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서입니다. 국영기업을 설립해 리튬 탐사·채굴부터 생산, 배터리 재활용까지 리튬 산업 전 주기를 국가 차원에서 아우른다는 것이 전략의 핵심입니다. 그동안에도 칠레는 리튬의 민간 진출과 개발에 제한을 두어 왔습니다. 하지만 이번 국유화 선언을 통해 리튬 산업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국영기업을 설립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는데요. 민간 기업에 대한 리튬 채굴 허가를 늘리는 대신, 신규 채굴 사업은 국영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리튬 생산량도 늘리고, 국가의 통제권을 확보해 배터리 산업이 주도하는 글로벌 시장에서 자국의 부가가치를 늘리겠다는 의도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리튬이 중요한 이유 스마트폰과 스마트워치, 태블릿, 무선 이어폰 등 각종 전자기기와 미래 산업의 핵심인 전기차 산업이 부상하면서 이에…
Read more

|
2월 22, 2024
중국에서 ‘하얀 금’이 나온다고? 새로운 리튬 매장지에 주목하는 이유
그리스어로 ‘돌(Lithos)’에서 그 이름을 따온 원자번호 3번, 리튬(Lithium)은 최근 스마트폰과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 원료로 주목받고 있는 광물입니다. 리튬은 배터리 속 에너지의 밀도를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요. 수산화리튬은 고용량 전기차 배터리에, 탄산리튬은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등의 전자기기에 쓰이고 있습니다. 배터리 시장의 성장에 힘입어 리튬의 가치도 나날이 상승하고 있는데요. 그러다 보니 리튬에는 ‘하얀 금(white gold)’이나 ‘새로운 석유(New Oil)’라는 별명도 붙었습니다. 수요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자원인 만큼 어떤 지역에서 리튬이 생산되느냐는 전 세계의 관심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요. 그런데 최근 중국에서 대규모 리튬 매장지가 새롭게 발견되면서 화제를 모았습니다. 중국, 100만 톤 규모의 리튬 매장지 발견 지난 1월 19일 중국 자연자원부는 쓰촨성 야장현에서 약 100만 톤 규모의 리튬 매장지를 발견했다고 밝혔는데요. 이번에 새로 발견된 리튬 매장지는 중국 내에서 네 번째로 큰 규모입니다. 지난해 미국 지질조사국 자료에 따르면 세계 리튬 자원량은 9천8백만 톤으로, 이번 중국 리튬 매장지의 추가 발견으로 세계 리튬 자원량이 1%가량 늘어난 셈입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중국이 새로운 리튬 매장지를 발견한 것은 글로벌 자원 경쟁이 심해지면서 중국이 에너지와 자원 안보를 강화하기 위해 국내 자원 탐사에 노력한 결과라고 분석했습니다. 리튬으로 커지는 중국의 입지 현재 중국은 전 세계에서 발견된 리튬의 약 7%를 보유하고 있는데요. 7%라는 수치 자체는…
Read more

|
7월 26, 2023
인도 정부는 왜 LX인터내셔널에 주목하고 있을까?
인도는 앞으로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나라’가 될 것이라고 합니다. 가장 인구가 많지만 1인당 GDP가 중국의 4분의 1수준이라 성장 잠재력이 어마어마하다고 평가받는 데다, 엄청난 문화적 다양성에서 나오는 소프트파워 역시 앞으로 발전이 더욱 기대되는 국가인데요. 가파르게 성장해 온 인도에서는 최근 차세대 먹거리를 발굴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LX인터내셔널이 인도 정부의 주목을 받고 있다고 하는데요. LX인터내셔널과 인도,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 인도, 새로운 ‘리튬의 성지’가 될까? 리튬은 오늘날 휴대전화, 컴퓨터 등 전자기기를 만드는 데에 널리 사용됩니다. 최근에는 리튬이온 배터리가 전기 자동차 충전지로 활용되면서 더욱 주목받고 있죠. 리튬은 세계적으로 생산량이 적은 데다 일부 국가에서만 한정적으로 이루어지다 보니 국가별 편중이 심한 자원이기도 한데요. 주요 리튬 매장국이 리튬 국유화에 나서는 등 이익을 확보하기 위해 적극 나서며 ‘리튬 전쟁’이라는 표현까지 등장했습니다. 이 ‘리튬 전쟁’의 새로운 주역으로 최근 인도가 부상하고 있습니다. 지난 2023년 2월 9일 인도 지질조사원(GSI)은 590만 톤 규모의 리튬 추정 자원이 인도 북부 잠무·카슈미르 레아시(Reasi) 지역에서 발견되었다고 발표하였는데요. 이는 인도 사상 최대 규모로, 1999년 GSI가 인도에 리튬 광맥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게 된 후 20년간 추가적인 탐사를 거치다 이번에 새롭게 발견한 것입니다. 이번 발견이 매장량으로 확정된다면 인도는 세계 6위 리튬 보유 국가가 됩니다. 이렇게 대규모 리튬…
Read more

|
6월 26, 2023
한국과 캐나다 MOU 체결, ‘이것’ 때문에 손잡았다고?
최근 산업통상자원부가 우리나라와 캐나다 간의 MOU 체결을 발표하며 전기차와 배터리 제조사들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이번 MOU 체결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시선도 많은데요. 우리나라와 캐나다가 갑자기 손을 잡게 된 이유는 무엇이고, 시장에 어떤 영향을 끼칠까요? 한국과 캐나다가 손을 잡은 이유 우리나라는 지난 5월 캐나다와 ‘핵심광물 공급망·청정에너지 전환·에너지 안보 협력 MOU’를 체결했습니다. 미국의 IRA법에 대응하여 캐나다와의 핵심광물 공급망 및 에너지 분야에서의 협력을 강화하기로 한 것인데요. 캐나다는 약 60가지 이상의 광물자원과 200여 개 광산, 6,500여 개 채석장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핵심광물이 풍부한 데다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하고 있어 우리나라 전기차와 배터리 업계가 IRA에 대응하기 위해서 반드시 협력이 필요한 국가입니다. 또, 수력이나 천연가스 등 청정에너지 발전 비중이 높고 청정수소 생산에도 강점을 지니고 있어 에너지 부문에서의 협력 역시 기대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우리나라 기업들이 최근 캐나다에 적극적인 투자를 늘리며 미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한 교두보로 활용하고 있는데요. 배터리 소재의 포스코 계열사인 포스코퓨처엠의 사례가 대표적입니다. 포스코퓨처엠은 2025년 3월 양산을 목표로 미국 제너럴모터스(GM)와 합작해 연 3만 톤 규모의 생산력을 갖춘 양극재 합작 공장을 캐나다 퀘벡주에 건설하고 있죠. MOU, IRA가 뭐지? 우리나라와 캐나다가 체결했다는 MOU는 ‘양해각서(Memorandum of Understanding)’를 뜻합니다. 거래 당사자들이 본 계약을 최종 체결하기 전 계약에 필요한 사항에 대해 상호 협의한 내용을…
Read more

|
4월 13, 2023
2차전지 시대! 핵심광물에 집중해야 하는 이유는?
전 세계가 주목하는 환경보존과 지속가능한 발전!핵심 광물이 그 열쇠가 될 수 있다고 하는데요?👀 광물 수요 대부분을 해외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는어떤 방법으로 핵심 광물 시대에 대응하고 있을까요?🤔 LX인터내셔널이 가져온 새로운 소식! 세로뉴스로 만나보세요🧡 Hits: 547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