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CATEGORY

  • 전체보기
  • LXI NEWS
  • LXI HISTORY
  • LXINSIDE
  • LXI RECRUIT
  • TREND

Search Newsroom

  • 기업비전
  • 기후위기
  • 조선흥업사
  • 환경오염
  • D2C사례
  • 헬스케어
  • 경영진단
  • 요소수대란
  • 드론산업
  • 2차배터리
  • 지속경영
  • 테이퍼링 효과
  • 엘엑스히스토리
  • 리사이클링
  • 에너지전쟁
  • #LX인터내셔널
  • 여행트렌드
  • 미디어산업
  • LX인터내셔널ESG
  • SellWE
  • 갓생
  • 환경
  • 브랜딩방법
  • MZ세대직장생활
  • 디지털트윈
  • ICT기술
  • 퀵커머스
  • 밴드웨건효과
  • 팜오일
  • 워케이션
  • 직업
  • 나노사회
  • 원자재
  • C2C
  • LXI
  • 브랜딩
  • 판유리
  • 애그테크
  • 기업플로깅
  • 데이터
  • 공정무역
  • 업무효율화
  • LXINDSIDE
  • 탄소
  • 신규입사자
-
  1. 홈
  2. 태그검색

'제조일자' 검색 결과

  |   1월 5, 2023

식품 유통기한, 이제는 소비기한으로 변신!

마트에서 식품을 구입할 때 꼭 확인해야 하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포장재에 표기된 날짜, 유통기한인데요. 그런데 2023년 1월 1일부터 식품 포장재에 표시되는 날짜가 ‘유통기한’에서 ‘소비기한’으로 변경되었습니다. 1985년 유통기한이 도입된 이래 38년 만의 일이죠. 그렇다면 유통기한과 소비기한, 무엇이 다를까요? 유통기한과 소비기한, 무엇이 다를까? 유통기한은 제품의 제조일로부터 소비자에게 유통 및 판매가 허용되는 기간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영업자가 ‘팔아도 되는’ 기간을 표시한 것입니다. 유통기한은 소비자가 이 기한 내에 적절하게 보관 및 관리된 식품은 안심하고 먹을 수 있으며, 제조업체는 제품의 품질과 안전성을 보장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유통기한은 식품이 상하기 시작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60~70%가량 앞선 기간으로 정하는데요. 예를 들어 100일 후부터 식품이 상하기 시작한다면 유통기한은 60~70일이 됩니다. 단, 이는 유통단계 등을 거치며 온도나 환경이 적절히 관리됐다는 조건 하에서의 기한입니다. 반면에 소비기한은 소비자가 식품 등에 표시된 보관 방법을 준수한 경우 섭취해도 문제없는 기한을 의미합니다. 즉 유통기한이 ‘판매자’ 중심의 표시제라면 소비기한은 ‘소비자’ 중심의 표시제인 것이죠. 소비기한은 식품이 상하기 시작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80~90% 앞선 기간으로, 유통기한보다 20%가량 깁니다. 기존에 유통기한이 60~70일이었던 제품이라면 소비기한은 80~90일이 됩니다. 이때 소비기한은 개봉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조업체의 권장 방법대로 보관한 제품에만 해당하는 기한으로, 철저히 보관 조건을 지키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유통기한이 소비기한으로 바뀌는 이유는? 유통기한은 식품이…
Read more
  • 8월 22, 2025 인도네시아·EU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 추진
  • 8월 14, 2025 기차 시장의 신흥강자 BYD, 유럽 시장 독주하다?
  • 7월 29, 2025 자원의 숲에서 미래를 말하다, LX인터내셔널 TBSM법인
  • 8월 25, 2021 90년대생이 온다! 직장에서 MZ세대 이해하는 법
  • 7월 28, 2022 ‘퍼스널 브랜딩’이 도대체 뭐길래? 지금 알아야 하는 이유!
  • 6월 16, 2022 전 세계를 휩쓰는 이상기후, 원인은?

  • HOMEPAGE
  • FACEBOOK
  • INSTAGRAM
  • YOUTUBE
  • NAVER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