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디지털 노마드(Digital Nomad)는 노트북이나 스마트폰 등 인터넷과 업무에 필요한 각종 기기를 이용해 특정 장소에 머물지 않고, 이곳저곳에서 일하는 사람을 말합니다. 정해진 공간에서 정해진 시간 동안 일하는 전통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자유롭게 일하기 때문에 ‘신(新) 유목민’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디지털 노마드는 언제부터 떠오르는 키워드가 되었을까요?

디지털 노마드의 전신이라고 할 수 있는 ‘BYOD(Bring Your Own Device)’는 2010년대 초 등장했습니다. 사무실에 노트북이나 스마트폰 등 개인용 디바이스를 가져와 업무에 사용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이제는 꽤 보편화된 방식이기도 한데요. 업무 목적으로 SNS 단체방을 만들거나, 업무용 이메일을 개인 스마트폰으로 조회하는 것도 모두 BYOD입니다.

코로나19 이후 디지털 노마드가 급격히 증가했습니다. 감염 우려때문에 재택근무를 선언한 기업이 늘었기 때문인데요. 한 미국 컨설팅업체에 따르면 미국의 디지털 노마드 숫자는 2019년 730만 명에서 2022년 1,500만 명으로 2배 넘게 급증했습니다.

한국, ‘디지털 노마드 비자’ 시범운영 실시

디지털 노마드가 삶의 한 방식으로 자리 잡으면서 이들을 적극적으로 유치하려는 국가들도 생겨났습니다. 자신들의 나라에 머물면서도 자국민과 일자리 경쟁을 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소비하는 성향이 높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탄생한 게 ‘디지털 노마드 비자’입니다.

디지털 노마드 비자를 발급하는 국가는 지난해 7월을 기준으로 스페인, 조지아, 그리스 등 총 38개국에 달합니다. 과거에는 중남미 서인도제도나 남태평양의 섬 국가 등 관광 산업에 주력하는 국가들이 주로 발급했지만, 코로나19를 거치면서 유럽 등 다른 지역의 주요 국가들도 디지털 노마드 비자를 만들었습니다.

우리나라도 올해 1월 1일부터 디지털 노마드 비자를 시범 운영하기로 했습니다. 외국 회사에 소속된 근로자가 재직 경력과 일정 이상 소득을 증명하는 경우 관광을 하며 국내에 장기 체류할 수 있도록 하는 겁니다. 우리나라에 입국하는 외국인은 관광비자 또는 무비자로 입국해 90일 이내로만 체류할 수 있었지만, 디지털 노마드 비자를 발급받았다면 최장 2년까지 체류할 수 있습니다.

다만, 내국인 고용시장을 보호하기 위해 우리나라로 들어오는 디지털 노마드 비자 소지자는 국내 취업이 엄격히 제한되며, 국내 취업을 원한다면 별도로 취업비자를 발급받아야 합니다. 또, 이미 국내에 체류 중인 외국인이라도 요건이 충족된다면 디지털 노마드 비자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 노마드, 인구 감소 해법이 될 수 있을까?

우리나라의 일부 전문가들은 디지털 노마드 비자 도입이 더 많은 외국인을 한국에 찾아오도록 하기 위한 수단이 될 수 있다고 평가합니다.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은 2023년 기준 0.78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고, 올해는 0.65명까지 떨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향후 생산 가능인구가 부족해질 위험에 처한 겁니다. 그렇기 때문에 외국인 인력을 수급하는 일이 중요해졌는데요. 디지털 노마드 비자 도입이 외국인을 국내로 자연스럽게 끌어들일 수 있는 첫걸음이 될 수 있습니다.

또, 인구의 절반 이상이 수도권에 살고 있을 정도로 편중 현상이 심화한 상황에서 고소득 외국인이 디지털 노마드 비자를 이용해 여러 지역에 머물게 되면 비수도권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다는 기대감도 나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디지털 노마드 비자 도입이 현실적으로 좋은 성과를 내기 어려울 수 있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디지털 노마드에게 한국이란 국가가 매력적인 선택지가 아닐 수 있기 때문입니다. CNN의 보도에 따르면 인터넷 포털 ‘인터네이션스’가 매년 분석해 발표하는 정착 난이도 순위에서 한국은 조사 대상 53개국 중 50위를 차지했습니다. 외국인의 관점에서 한국은 정착하기 어려운 국가라는 뜻입니다.

디지털 노마드 비자의 자격 요건이 지나치게 높게 설정되었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한국 디지털 노마드 비자는 해외 기업에 소속된 외국인이면서 동일 업종에서 1년 이상 근무했어야 하고, 소득이 한국의 전년도 1인당 국민 총소득(GNI)의 2배 이상이어야 합니다. 2022년 한국 GNI인 4,248만 원을 기준으로 하면 연 소득이 8,496만 원을 넘는 고소득자만 비자를 발급받을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또, 병원 치료 및 본국 후송을 위해 보장액이 1억 원 이상인 개인 의료 보험에 가입해야 한다는 조건도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재난이 예고된 상황에서 ‘디지털 노마드 비자’란 도구를 현실에 맞게 바꾸면 인구 감소를 막을 수 있을 지 주목됩니다.

Hits: 325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