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치소비' 검색 결과

|
3월 17, 2023
환경을 보호하는 QR코드! e-라벨
코로나19로 사회적 거리 두기를 시행했던 시기에 전자출입명부 작성을 위해 QR코드를 자주 사용하며 친숙해진 분들이 많을 것 같습니다. QR코드는 간단한 스캔만으로 제품이나 이벤트 등 다양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식인데요.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이 QR코드를 활용해 ‘e-라벨’을 도입했다고 합니다. e-라벨이란 무엇일까요? e-라벨이란? 지난 2022년 9월 5일,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는 ‘스마트라벨’을 활용한 식품 표시 간소화 사업을 시범 운영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법안은 포장재에 7가지 필수 표기사항을 표기하고, 제품 포장재에 스마트라벨을 삽입하여 해당 제품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여기서 ‘스마트라벨’이란 우리에게 친숙한 QR코드를 말하는 것인데요. 2023년부터는 소비자에게 직관적이고 친근하게 다가가기 위해 ‘e-라벨’이라는 용어로 변경하였습니다. e-라벨을 적용했을 때 제품 포장재에 반드시 표시해야 하는 7가지 정보는 원재료명, 영양성분, 업소 소재지, 품목보고번호 등인데요. 2022년 3월부터 식약처와 소비자단체, 식품업계가 논의하여 안전 및 제품 선택에 있어서 소비자가 꼭 확인해야 하는 1차적인 정보를 위주로 결정하였습니다. e-라벨이 우리 일상에 미치는 영향은? 7가지 필수 표기사항 외의 정보를 e-라벨로 제공하게 되면서 글자를 적을 공간이 훨씬 넓어졌는데요. 때문에 필수 표기사항을 소비자가 더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글자 크기가 10포인트에서 12포인트로, 글자 폭(장평)은 50%에서 90%로 넓어져 포장재에 쓰인 정보를 읽기가 쉬워졌습니다. 글자 크기가 커지면서 노인이나 시각장애인 등 시력이 낮은…
Read more

|
2월 8, 2023
음식 속 숨은 탄소가 환경을 위협한다고? 나와 지구를 위한 저탄소 식단!
오늘날 세계에서 가장 주목해야 하는 이슈는 ‘환경 문제’가 단연 1위가 아닐까 싶습니다.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해 탄소 배출을 줄이려는 세계인들의 노력이 계속되고 있지만, 여전히 환경오염 문제 해결은 요원해 보이는데요. 정부와 기업뿐만 아니라 개인의 노력 역시 필요한 상황입니다. 기후변화와 대기오염, 원인은 ‘온실가스’ 환경오염에 대한 위기의식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가치소비*를 추구하는 MZ세대를 중심으로 친환경에 대한 관심이 나날이 커지고 있습니다. 구인구직 전문 포털 알바몬이 지구의 날을 기념해 MZ세대 2,15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MZ세대 10명 중 8명은 평소 환경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응답하였는데요. 또, 10명 중 7명은 일상 속 친환경을 실천하고 있다고 답하기도 하였습니다. *가치소비: 자신이 지향하는 가치나 만족도를 기반으로 제품을 합리적으로 구매하는 방식으로, 제품의 질보다 사회적 영향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소비 형태. 한편 MZ세대가 가장 심각하다고 생각하는 환경문제로는 ‘기후변화’(68.3%), ‘미세먼지나 오존 등으로 인한 대기오염’(58.2%), ‘쓰레기와 폐기물 등으로 인한 토양 오염’(54.8%) 등이 손꼽혔는데요. 전체 연령대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KB금융그룹의 모바일 설문조사에서도 응답자의 76%가 ‘대기오염’과 ‘기후변화 및 지구온난화’를 가장 심각한 환경문제로 꼽으며 MZ세대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습니다. 이렇게 공통적으로 가장 심각한 환경문제로 여겨지는 기후변화와 대기오염의 원인은 무엇일까요? 주된 원인은 다름 아닌 온실가스입니다. 온실가스란 지구 대기 온도가 상승하는 ‘온실효과’를 으키는 기체로, 2005년 발효된 기후변화협약인 교토의정서에서…
Read more

|
11월 11, 2022
못난이 딸기로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다고? ‘푸드 리퍼브’!
요즘 마트나 쇼핑몰에서 일명 ‘못난이 농산물’이라고 불리는 제품을 자주 만나볼 수 있습니다. 본래 외형이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농산물은 잘 판매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는데요. 최근 들어 이런 ‘못난이 농산물’이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못난이 농산물’도 괜찮아, 푸드 리퍼브 푸드 리퍼브(Food Refurb)는 맛과 영양에 문제가 없지만, 외관이 예쁘지 않거나 흠집이 있어 상품 가치가 낮은 음식재료를 적극 구매하거나, 그 농산물을 활용해 새로운 음식을 재창조하는 것을 말합니다. 작은 흠이 있지만, 성능에 문제가 없는 제품을 손질해 정품보다 싸게 판매하는 ‘리퍼브’ 제품의 개념을 음식에 적용한 셈입니다. 2014년 프랑스 슈퍼마켓 체인인 ‘엥테르마르셰 (Intermarche)’이 폐기 위기에 처한 못난이 농산물을 판매하며 ‘못생긴 당근? 수프에 들어가면 상관없잖아?’라는 문구의 포스터로 도발적인 마케팅을 하며 푸드 리퍼브라는 개념이 조명되었다고 하는데요. 이 마케팅이 시작된 프랑스에서는 매년 버려지는 1,000만 톤에 달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2025년까지 절반으로 줄인다는 목표를 세우고 대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이후 유럽 전역과 북미까지 푸드 리퍼브가 확산하며 확고한 트렌드로 자리 잡기 시작했습니다. 푸드 리퍼브는 왜 등장했을까? 우리나라 생활폐기물의 30%는 음식물 쓰레기입니다. 이를 처리하는 비용에 연간 20조 원 이상이 지출되고 있는데요. 문제는 음식물 쓰레기가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탄소 배출의 주요 요인 중 하나라는 점입니다.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UN FAO)는 음식물 쓰레기의 탄소 배출량을 2011년 국가별 탄소 배출량…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