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배출' 검색 결과

|
11월 24, 2022
LX인터내셔널에는 일회용 컵이 없다고?
‘미닝아웃’, ‘필(必)환경’과 같은 신조어가 탄생하며 기업 ESG 경영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MZ세대 38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MZ세대의 64.5%가 ESG 기업 제품은 비싸도 구매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고, 51.3%가 기업의 바람직한 모습이 투명, 윤리경영을 실천하는 기업이라고 응답했는데요. LX인터내셔널은 이전부터 환경보호와 더불어 ESG 경영 실천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최근 환경을 위한 움직임으로 주목받고 있는 활동이 바로 ‘다회용 컵 사용 캠페인’이죠. 편리한 일회용 컵에 숨겨진 불편한 진실 지난 2021년 한 해 동안 주요 카페/패스트푸드점에서 사용된 일회용 컵이 무려 10억 개에 달합니다. 이중 매장에 회수된 컵은 18.8%에 그쳤는데요. 사용되고 버려지는 일회용 컵은 환경 오염을 유발하며, 이를 폐기하는 과정에서 온실가스가 발생해 기후변화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때문에 우리나라는 2022년 12월 ‘일회용 컵 보증금 제도’를 다시 실시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는 1회용 컵 회수율이 2009년도 37%에서 2018년도 5%로 낮아져, 재활용 가능한 컵이 길거리 쓰레기로 방치되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인데요. 소비자가 음료를 주문할 때 음료 가격에 ‘자원순환보증금’ 300원을 추가로 내고, 빈 컵을 반납하면 돈을 돌려받는 구조로, 환경부는 이번 제도를 통해 온실가스 66% 이상 감축, 연간 445억 이상 편익 발생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일회용 컵 보증금 제도가 사업자들에게 부담이 되다 보니 반대의 목소리도…
Read more

|
11월 18, 2022
지구를 하얗게 만든다면, 지구온난화가 해결될까?
지구온난화가 점점 더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2021년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에서는 20년 이내 지구 평균 온도가 산업화 이전 시기보다 1.5도 이상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했는데요. 점점 뜨거워지는 지구의 온도를 시원하게 낮추기 위한 획기적인 방안은 없을까요? 앞당겨진 지구온난화 최근 폭염이나 폭우, 가뭄 같은 이상기후가 부쩍 늘었습니다. 산업화 이전과 비교했을 때 약 4.8배 증가했다고 하는데요. 앞으로도 온실가스 배출량이 매우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경우 2080년 이후의 지구 평균 온도는 산업화 이전보다 3.3~5.7도까지 올라갈 전망이라고 합니다. 이 경우 해수면이 60m까지 상승하면서 전 세계 해안 도시가 모두 물에 잠기며, 우리나라 수도권과 서해안 및 남해안 지역 역시 상당 부분 물에 잠깁니다. 결국 한반도는 사람이 살지 못하는 땅이 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런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유엔기후변화 협약 사국총회(COP26)에서는 2050년까지 세계 각 국가가 탄소 중립을 이루어 1.5도 이상 기온이 상승하는 것을 막자고 협의하였는데요. 하지만 이미 망가진 삼림과 녹은 빙산이 서로 연쇄작용을 일으켜 지구가 스스로 뜨거워지고 있기 때문에, 지구온난화의 악순환을 끊기 위해서는 탄소 배출의 제한뿐만 아니라 삼림을 복원하는 등 다각적인 면에서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습니다. 하얗게 만들면 더 시원해진다고? 더운 여름에는 검은색 옷 대신 흰색 옷을 입으면 더 시원합니다. 그 이유는 흰색의 알베도가 높기 때문입니다. 알베도란 ‘하얗다’는…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