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배출' 검색 결과

|
7월 12, 2023
지구온난화 부르는 에어컨, 친환경으로 변신!
여름철 폭염이 점점 증가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2013년부터 2022년 8월까지 최근 10년간 평균 폭염 일수는 137.3일로, 10년 전 기간(2003년~2012년)의 91.8일에 비해 49.5%나 늘어났다고 하는데요. 올 7월에도 우리나라 곳곳에서 폭염 소식이 들리고 있습니다. 이렇게 폭염이 지속되면서 에어컨을 트는 집도 많아졌을 텐데요. 문제는 에어컨이 지구온난화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될 만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점입니다. 뜨거워지는 여름, 늘어나는 에어컨 엘니뇨란 동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0.5도 이상 높아지는 현상으로, 엘니뇨가 발생하면 지구 온도가 0.2도가량 상승한다고 알려져 있는데요. 세계기상기구(WMO)는 지금까지 지구가 가장 더웠던 해는 2016년이었으나 올여름 발생하는 강력한 엘니뇨 현상의 영향으로 향후 5년 안에 이 기록이 깨질 가능성이 98%에 달한다고 전망했습니다. 그리고 향후 5년간 온실가스와 엘니뇨 현상으로 지구 기온이 기록적으로 급등할 전망이며, 이 탓에 지구 기온 상승 폭의 임계점인 1.5도에 도달할 확률이 무려 66%에 달한다고 밝혔습니다. 만약 지구 기온 상승 폭이 1.5도를 넘으면 전 세계에서 에너지·식량·재난의 3대 위기가 급격히 증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 엘니뇨가 시작되기 전인 봄부터 아시아와 북미 지역에서는 폭염이 발생하기 시작하였는데요. 실제로 지난 3월은 1850년 이래 지구가 가장 더웠던 역대 두 번째 해였습니다. 본격적인 여름이 시작되면서 폭염에 대한 우려는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지금 에어컨 얼마나 많이 사용되고 있을까? 이렇게 날씨가 심각하게 더워지면서 에어컨…
Read more

|
11월 24, 2022
LX인터내셔널에는 일회용 컵이 없다고?
‘미닝아웃’, ‘필(必)환경’과 같은 신조어가 탄생하며 기업 ESG 경영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MZ세대 38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MZ세대의 64.5%가 ESG 기업 제품은 비싸도 구매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고, 51.3%가 기업의 바람직한 모습이 투명, 윤리경영을 실천하는 기업이라고 응답했는데요. LX인터내셔널은 이전부터 환경보호와 더불어 ESG 경영 실천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최근 환경을 위한 움직임으로 주목받고 있는 활동이 바로 ‘다회용 컵 사용 캠페인’이죠. 편리한 일회용 컵에 숨겨진 불편한 진실 지난 2021년 한 해 동안 주요 카페/패스트푸드점에서 사용된 일회용 컵이 무려 10억 개에 달합니다. 이중 매장에 회수된 컵은 18.8%에 그쳤는데요. 사용되고 버려지는 일회용 컵은 환경 오염을 유발하며, 이를 폐기하는 과정에서 온실가스가 발생해 기후변화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때문에 우리나라는 2022년 12월 ‘일회용 컵 보증금 제도’를 다시 실시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는 1회용 컵 회수율이 2009년도 37%에서 2018년도 5%로 낮아져, 재활용 가능한 컵이 길거리 쓰레기로 방치되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인데요. 소비자가 음료를 주문할 때 음료 가격에 ‘자원순환보증금’ 300원을 추가로 내고, 빈 컵을 반납하면 돈을 돌려받는 구조로, 환경부는 이번 제도를 통해 온실가스 66% 이상 감축, 연간 445억 이상 편익 발생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일회용 컵 보증금 제도가 사업자들에게 부담이 되다 보니 반대의 목소리도…
Read more

|
11월 18, 2022
지구를 하얗게 만든다면, 지구온난화가 해결될까?
지구온난화가 점점 더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2021년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에서는 20년 이내 지구 평균 온도가 산업화 이전 시기보다 1.5도 이상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했는데요. 점점 뜨거워지는 지구의 온도를 시원하게 낮추기 위한 획기적인 방안은 없을까요? 앞당겨진 지구온난화 최근 폭염이나 폭우, 가뭄 같은 이상기후가 부쩍 늘었습니다. 산업화 이전과 비교했을 때 약 4.8배 증가했다고 하는데요. 앞으로도 온실가스 배출량이 매우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경우 2080년 이후의 지구 평균 온도는 산업화 이전보다 3.3~5.7도까지 올라갈 전망이라고 합니다. 이 경우 해수면이 60m까지 상승하면서 전 세계 해안 도시가 모두 물에 잠기며, 우리나라 수도권과 서해안 및 남해안 지역 역시 상당 부분 물에 잠깁니다. 결국 한반도는 사람이 살지 못하는 땅이 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런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유엔기후변화 협약 사국총회(COP26)에서는 2050년까지 세계 각 국가가 탄소 중립을 이루어 1.5도 이상 기온이 상승하는 것을 막자고 협의하였는데요. 하지만 이미 망가진 삼림과 녹은 빙산이 서로 연쇄작용을 일으켜 지구가 스스로 뜨거워지고 있기 때문에, 지구온난화의 악순환을 끊기 위해서는 탄소 배출의 제한뿐만 아니라 삼림을 복원하는 등 다각적인 면에서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습니다. 하얗게 만들면 더 시원해진다고? 더운 여름에는 검은색 옷 대신 흰색 옷을 입으면 더 시원합니다. 그 이유는 흰색의 알베도가 높기 때문입니다. 알베도란 ‘하얗다’는…
Read more

|
11월 16, 2022
스마트폰은 왜 환경오염의 주범이 되었을까?
스마트폰은 우리 일상에서 떼어놓을 수 없는 중요한 물건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우리나라의 성인 스마트폰 사용률은 2022년 6월 기준 97%에 달하고, 특히 20대부터 50대까지는 100%가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죠. 그런데 우리가 사용하는 스마트폰이 심각한 환경오염을 불러오고 있다는데요. 왜 스마트폰은 환경오염의 주범이 되었을까요? 내 스마트폰은 얼마나 많은 이산화탄소를 배출할까?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는 이산화탄소가 발생합니다. 스마트폰의 와이파이, 5G, LTE 등의 통신망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전력 생산과 데이터 센터 운영 등에서 이산화탄소가 직간접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이죠. 글로벌 학술지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에 게재된 ‘Assessing ICT global emissions footprint: Trends to 2040 & recommendations(2018)’ 논문에 따르면 스마트폰 1대가 하루 동안 내뿜는 이산화탄소는 약 660g입니다. 또한 환경단체 그린피스 독일 사무소는 유명 브랜드의 스마트폰을 기준으로 스마트폰 1대 생산과정에서 약 89.1kg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며, 연간 12억 대 정도의 스마트폰이 출고되고 있으므로 스마트폰 생산으로 인한 연간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약 1억 톤에 이른다고 추산했는데요. 생산 이후 스마트폰을 고객에게 배송하는 과정에서도 스마트폰 1대당 약 4.4kg 이산화탄소가 발생한다고 합니다. 버려지는 스마트폰, 알고 보면 자원 덩어리 앞서 살펴본 것처럼 스마트폰을 제작 및 운송하는 과정에서 엄청난 양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기 때문에, 스마트폰을 자주 교체하는 것은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는데요. 2022년 10월 진행된 전자전기 폐기물 포럼(WEEE forum)에서는 전 세계 약…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