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광물' 검색 결과

|
3월 27, 2024
한국, 중국을 대신할 글로벌 배터리 허브가 될 수 있을까?
최근 배터리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전기차뿐만 아니라 향후 친환경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배터리가 꼭 필요하기 때문인데요. 우리나라가 배터리 글로벌 허브로 거듭날 좋은 기회가 찾아왔다는 의견이 등장해 주목받고 있습니다. 글로벌 배터리 공급망 현황은? 현재 글로벌 배터리 공급망은 대부분 중국이 장악하고 있습니다. 광물 채굴부터 제련, 배터리 셀 생산까지 주요 단계에서 중국이 끼치는 영향력이 적지 않습니다. 중국은 전 세계 배터리 셀 생산의 75%를 담당하고 있고, 양극재와 음극재 등 셀 구성요소에 대해서도 70%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배터리 소재에 필수적인 핵심 광물의 제련 역시 60% 이상이 중국에서 이루어집니다. 우리나라도 배터리 5대 핵심 광물인 리튬, 니켈, 코발트, 망간, 흑연 등을 대부분 중국에서 들여오고 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2021년 수입액 기준 수산화리튬의 84%, 천연흑연은 72%, 인조흑연 87%를 중국에서 들여오고 있습니다. 망간이나 코발트 역시 적게는 69%에서 최대 전량을 중국에서 수입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이런 핵심 광물 자원을 바탕으로 배터리 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출하고 있는데요.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서 중국의 배터리 기업인 CATL이 무서운 속도로 점유율을 늘려가고 있습니다. 한국, 중국을 대체할 배터리 공급망 허브가 될 수 있을까? 현재 미국과 유럽 등 해외 주요국은 글로벌 배터리 공급망에서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발 벗고 나섰습니다. 대표적으로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이 있습니다. 이…
Read more

|
2월 22, 2024
중국에서 ‘하얀 금’이 나온다고? 새로운 리튬 매장지에 주목하는 이유
그리스어로 ‘돌(Lithos)’에서 그 이름을 따온 원자번호 3번, 리튬(Lithium)은 최근 스마트폰과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 원료로 주목받고 있는 광물입니다. 리튬은 배터리 속 에너지의 밀도를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요. 수산화리튬은 고용량 전기차 배터리에, 탄산리튬은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등의 전자기기에 쓰이고 있습니다. 배터리 시장의 성장에 힘입어 리튬의 가치도 나날이 상승하고 있는데요. 그러다 보니 리튬에는 ‘하얀 금(white gold)’이나 ‘새로운 석유(New Oil)’라는 별명도 붙었습니다. 수요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자원인 만큼 어떤 지역에서 리튬이 생산되느냐는 전 세계의 관심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요. 그런데 최근 중국에서 대규모 리튬 매장지가 새롭게 발견되면서 화제를 모았습니다. 중국, 100만 톤 규모의 리튬 매장지 발견 지난 1월 19일 중국 자연자원부는 쓰촨성 야장현에서 약 100만 톤 규모의 리튬 매장지를 발견했다고 밝혔는데요. 이번에 새로 발견된 리튬 매장지는 중국 내에서 네 번째로 큰 규모입니다. 지난해 미국 지질조사국 자료에 따르면 세계 리튬 자원량은 9천8백만 톤으로, 이번 중국 리튬 매장지의 추가 발견으로 세계 리튬 자원량이 1%가량 늘어난 셈입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중국이 새로운 리튬 매장지를 발견한 것은 글로벌 자원 경쟁이 심해지면서 중국이 에너지와 자원 안보를 강화하기 위해 국내 자원 탐사에 노력한 결과라고 분석했습니다. 리튬으로 커지는 중국의 입지 현재 중국은 전 세계에서 발견된 리튬의 약 7%를 보유하고 있는데요. 7%라는 수치 자체는…
Read more

|
2월 15, 2024
원자력 발전의 원료, 우라늄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원자번호 92번, 원소 기호로는 U, 상온에서 은색의 고체 금속으로 존재하는 ‘우라늄(uranium)’은 원자력 발전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핵 원료입니다. 그런데 이 우라늄의 가격이 최근 천정부지로 치솟았다고 하는데요. 왜 지금 우라늄이 세계의 주목을 받게 되었을까요? 우라늄이란? 우라늄의 높은 가치는 결국 원자력 발전에서 나옵니다. 원자력 발전은 핵분열 반응을 이용해 물을 끓이고, 그 증기로 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여기서 핵분열 반응이란 크고 무거운 원자핵이 외부의 강한 힘으로 인해 쪼개지는 현상인데요. 우라늄이 원자력 발전에 사용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우라늄이 자연에서 비교적 쉽게 발견할 수 있는 원소 중에서 원자번호가 가장 큰, 즉 가장 무거운 원소이기 때문입니다. 우라늄보다 더 원자번호가 큰 넵투늄과 플루토늄이 있지만 이들은 자연에는 거의 존재하지 않고 인위적인 핵반응을 통해 만들어지는 인공원소로 분류합니다. 그렇다면 자연에서 우라늄은 얼마나 존재할까요? 우라늄은 바닷물 1㎥ 당 약 3.3mg이 녹아 있으며, 지각에도 0.00023%의 농도로 함유되어 있습니다. 은이나 주석처럼 우리에게 친숙한 금속보다도 많은 양입니다. 이렇게 흔한 원소이기 때문인지 역사적으로는 고대 로마 시대부터 사용된 기록이 있는데요. 당시에는 천연 우라늄 산화물을 노란색 도자기 유약과 채색 유리용 첨가물로 사용했습니다. 우라늄이 지금 주목받는 이유는? 오래전부터 대표적인 핵 원료로 사용되고 있는 우라늄은 최근 들어 더욱 주목받고 있는데요.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첫째로는 에너지 안보에 대한 위기의식이…
Read more

|
12월 14, 2023
상사업계가 지금 인도네시아에 주목하는 이유는?
최근 글로벌 기업들이 인도네시아 해외 진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인도네시아에 대한 주목도가 점점 더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특히 공급망 확보에 주력하는 상사업계의 구애가 뜨겁습니다. LX인터내셔널 역시 최근 인도네시아 AKP 광산을 인수하는 등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데요. 왜 지금 상사업계가 인도네시아로 발길을 돌리고 있을까요? 외국인 투자 급증하는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는 거대한 내수시장을 보유한 국가입니다. 2023년 기준 인도네시아 인구수는 약 2억 7,760만 명으로 세계에서 4번째로 많은 인구를 자랑하는데요. 이렇게 탄탄한 내수시장 덕분에 높은 성장 가능성을 품은 국가로 평가됩니다. 게다가 인도네시아 내수시장은 앞으로 더욱 성장할 가능성이 큽니다. UN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인구는 2045년까지 20.2% 증가해 약 3억 2천만 명에 이를 전망인데요. 여기에 더해 2010년 3,000달러에서 2023년 5,000달러를 돌파하는 등 나날이 상승하고 있는 인도네시아의 1인당 GDP 역시 긍정적인 지표입니다. 1인당 GDP가 성장함에 따라 잠재 소비력 역시 강해지고, 그만큼 내수시장이 더욱 활성화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인도네시아의 전망이 장밋빛이다 보니 투자에 나서는 기업들이 많습니다. 실제로 인도네시아에 대한 외국인 투자액은 급증하고 있는데요. 2022년 인도네시아의 외국인 직접투자(FDI)는 전년 대비 44.2% 급증한 456억 달러(56조 2,000억 원)를 달성했습니다. 인도네시아 핵심 투자 분야는 ‘원자재’ 기회의 땅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주목받는 투자 분야는 ‘원자재’입니다. 인도네시아는 광물, 팜유, 목재 등 각종 원자재가 풍부하여 정부 주도로…
Read more

|
12월 11, 2023
화장품부터 우주선까지! 다양하게 쓰이는 핵심광물 ‘티타늄’
요즘 날씨가 급격히 추워지면서 옷장에서 잠자고 있던 따듯한 패딩을 꺼내는 분들이 많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우리에게 친숙한 겨울옷인 패딩을 만드는 데 핵심 광물로 잘 알려진 티타늄이 쓰인다고 하는데요. 무궁무진한 잠재력을 지닌 금속, 티타늄에 대해 알아볼까요? 티타늄이란? 티타늄은 원자번호 22번, 기호 Ti로 표기하는 물질입니다. 언뜻 최근에 발견된 원소처럼 느껴지지만 사실 그 역사는 무려 1700년대로 거슬러 올라가는데요. 티타늄(Titanium)이라는 이름은 그리스 신화의 거인 신족(神族) 티탄(Titan)에서 따왔다고 합니다. ‘강력하고 거대하다’라는 이름의 뜻처럼 티타늄은 주기율표에서 가장 강력한 금속으로 꼽힙니다. 흔히 사용되는 금속인 철과 비교했을 때 강도가 낮지만, 대신 훨씬 가벼운데요. 다른 금속과 티타늄을 섞어서 만드는 티타늄 합금은 높은 중량 대비 강도를 지닌 데다 철과 비교했을 때 뛰어난 내식성, 우수한 내열성과 생체적합성을 자랑해 오늘날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다방면으로 활용되는 금속입니다. 이렇게 활용도도 뛰어난 데다 지각에서 9번째로 많을 정도로 흔한 원소이며 채굴도 쉬운 티타늄이지만, 의외로 주변에서 보기 쉬운 금속은 아닙니다. 녹는점이 1,668도로 매우 높아 제련이 어렵기 때문인데요. 전 세계적으로 티타늄을 상업 목적으로 제련하고 있는 국가는 중국, 러시아, 일본 등 소수이며 우리나라 역시 수입에 의존해 오다 2022년에 들어서 원천 기술을 처음으로 확보한 바 있습니다. 오늘날 티타늄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랑받고 있으며, 특히 이차전지나 항공 우주 분야 등 최첨단을…
Read more

|
11월 13, 2023
중국 흑연 수출 통제! 광물 전쟁 속 상사업계는?
연필이나 샤프의 심으로도 사용되어 일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물질인 흑연은 사실 다양한 산업에서 쓰임새가 있는 중요한 광물입니다. 특히 배터리 4대 소재 중 하나인 음극재를 생산하는 데 꼭 필요한데요. 전기차 한 대의 배터리를 만드는 데 50~100kg가량의 흑연이 쓰이며, 이는 배터리를 만드는 데 필요한 리튬의 약 2배에 달하는 양입니다. 그런데 최근 중국이 흑연 수출 통제를 발표하면서 우리나라 상사업계들이 분주해지고 있는데요. 중국 흑연 수출 통제와 상사업계, 어떤 관련이 있을까요? 중국, 12월부터 흑연 수출 통제 중국은 지난 10월 20일, 12월부터 흑연 수출을 통제하겠다는 내용을 담은 ‘흑연 관련 항목 임시 수출 통제 조치의 개선·조정에 관한 공고’를 발표했습니다. 중국이 흑연 수출을 통제한 건 이번이 처음이 아닌데요. 지난 2006년 9월에도 한차례 흑연 수출을 통제한 바 있고, 이때는 통제 시행 직후 2개월간 흑연 수출이 일시적으로 감소했다가 본래 수준으로 돌아왔습니다. 이번 수출 통제 역시 지난 2006년과 마찬가지로 통제 대상 목록을 조정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이번에도 시간이 지나면 다시 흑연 수출이 정상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는 시각이 적지 않죠. 반면 미-중 갈등으로 중국이 흑연 수출 통제를 미국에 대한 보복성 수단으로 활용하려고 한다면 향후 미국에 공장을 둔 우리나라 이차전지 기업들이 수출 허가를 받기 어려워질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는…
Read more

|
11월 8, 2023
영덕 몰리브덴 광산은 왜 주목받고 있을까? 이유는 ‘핵심 광물’
최근 글로벌 원자재 공급망을 두고 벌이는 미국-중국 패권 경쟁이 심화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핵심 광물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면서 우리나라 역시 핵심 광물 공급망 확보에 힘쓰고 있는데요. 그런데 최근 핵심 광물 중 하나인 몰리브덴이 국내에서 생산되기 시작했다는 소식이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핵심 광물 몰리브덴, 영덕에서 생산된다 몰리브덴은 내열성이 높은 특성 때문에 주로 특수강 합금원소로서 기계제조용 철강제품이나 고속도강, 초합금 등에 다양하게 쓰이고 있습니다. 최근 몰리브덴은 반도체, 2차 전지, 방산 재료, 태양전지 등에서도 활용되면서 더욱 주목받고 있는데요. 과거에는 중국에서 주로 수입해 왔으나, 몰리브덴이 전략적으로 중요한 광물로 떠오르자 자원 보호 차원에서 우리나라로의 수출을 금지하였습니다. 또, 지난 9월 6일 유럽의회에서 역내가공 목표를 상향하는 핵심원자재법(CRMA)안을 채택하는 등 전 세계적으로 몰리브덴 확보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상황입니다. 실제로 최근 4개월째 몰리브덴 가격이 50% 이상 인상되었다고 하는데요. 그런데 최근 경북 영덕군 창수면 지역에서 몰리브덴이 생산되기 시작했습니다. 영덕 몰리브덴 광산은 총 매장량 179만 톤에 이르는 고품위 초대형 광산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이 광산은 현재 정비중인 선광 시설이 확충된 후 1일 1,000톤을 목표로 개발될 예정입니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몰리브덴 전량을 해외 수입에 의존해 왔던 만큼 이번 몰리브덴 생산이 기업의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경제 안보에 이바지하는 발판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지금 ‘핵심 광물’이 중요한…
Read more

|
7월 26, 2023
인도 정부는 왜 LX인터내셔널에 주목하고 있을까?
인도는 앞으로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나라’가 될 것이라고 합니다. 가장 인구가 많지만 1인당 GDP가 중국의 4분의 1수준이라 성장 잠재력이 어마어마하다고 평가받는 데다, 엄청난 문화적 다양성에서 나오는 소프트파워 역시 앞으로 발전이 더욱 기대되는 국가인데요. 가파르게 성장해 온 인도에서는 최근 차세대 먹거리를 발굴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LX인터내셔널이 인도 정부의 주목을 받고 있다고 하는데요. LX인터내셔널과 인도,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 인도, 새로운 ‘리튬의 성지’가 될까? 리튬은 오늘날 휴대전화, 컴퓨터 등 전자기기를 만드는 데에 널리 사용됩니다. 최근에는 리튬이온 배터리가 전기 자동차 충전지로 활용되면서 더욱 주목받고 있죠. 리튬은 세계적으로 생산량이 적은 데다 일부 국가에서만 한정적으로 이루어지다 보니 국가별 편중이 심한 자원이기도 한데요. 주요 리튬 매장국이 리튬 국유화에 나서는 등 이익을 확보하기 위해 적극 나서며 ‘리튬 전쟁’이라는 표현까지 등장했습니다. 이 ‘리튬 전쟁’의 새로운 주역으로 최근 인도가 부상하고 있습니다. 지난 2023년 2월 9일 인도 지질조사원(GSI)은 590만 톤 규모의 리튬 추정 자원이 인도 북부 잠무·카슈미르 레아시(Reasi) 지역에서 발견되었다고 발표하였는데요. 이는 인도 사상 최대 규모로, 1999년 GSI가 인도에 리튬 광맥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게 된 후 20년간 추가적인 탐사를 거치다 이번에 새롭게 발견한 것입니다. 이번 발견이 매장량으로 확정된다면 인도는 세계 6위 리튬 보유 국가가 됩니다. 이렇게 대규모 리튬…
Read more

|
6월 26, 2023
한국과 캐나다 MOU 체결, ‘이것’ 때문에 손잡았다고?
최근 산업통상자원부가 우리나라와 캐나다 간의 MOU 체결을 발표하며 전기차와 배터리 제조사들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이번 MOU 체결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시선도 많은데요. 우리나라와 캐나다가 갑자기 손을 잡게 된 이유는 무엇이고, 시장에 어떤 영향을 끼칠까요? 한국과 캐나다가 손을 잡은 이유 우리나라는 지난 5월 캐나다와 ‘핵심광물 공급망·청정에너지 전환·에너지 안보 협력 MOU’를 체결했습니다. 미국의 IRA법에 대응하여 캐나다와의 핵심광물 공급망 및 에너지 분야에서의 협력을 강화하기로 한 것인데요. 캐나다는 약 60가지 이상의 광물자원과 200여 개 광산, 6,500여 개 채석장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핵심광물이 풍부한 데다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하고 있어 우리나라 전기차와 배터리 업계가 IRA에 대응하기 위해서 반드시 협력이 필요한 국가입니다. 또, 수력이나 천연가스 등 청정에너지 발전 비중이 높고 청정수소 생산에도 강점을 지니고 있어 에너지 부문에서의 협력 역시 기대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우리나라 기업들이 최근 캐나다에 적극적인 투자를 늘리며 미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한 교두보로 활용하고 있는데요. 배터리 소재의 포스코 계열사인 포스코퓨처엠의 사례가 대표적입니다. 포스코퓨처엠은 2025년 3월 양산을 목표로 미국 제너럴모터스(GM)와 합작해 연 3만 톤 규모의 생산력을 갖춘 양극재 합작 공장을 캐나다 퀘벡주에 건설하고 있죠. MOU, IRA가 뭐지? 우리나라와 캐나다가 체결했다는 MOU는 ‘양해각서(Memorandum of Understanding)’를 뜻합니다. 거래 당사자들이 본 계약을 최종 체결하기 전 계약에 필요한 사항에 대해 상호 협의한 내용을…
Read more

|
4월 13, 2023
2차전지 시대! 핵심광물에 집중해야 하는 이유는?
전 세계가 주목하는 환경보존과 지속가능한 발전!핵심 광물이 그 열쇠가 될 수 있다고 하는데요?👀 광물 수요 대부분을 해외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는어떤 방법으로 핵심 광물 시대에 대응하고 있을까요?🤔 LX인터내셔널이 가져온 새로운 소식! 세로뉴스로 만나보세요🧡 Hits: 547
Read more